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편집 수: 2,137건. 계정 생성일: 2023년 2월 3일 (금).
기여 검색펼치기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3년 3월 24일 (금)

  • 11:542023년 3월 24일 (금) 11:54 차이 역사 +18 새글 분류:통계 해석 새 문서: 분류: 수학 최신
  • 11:532023년 3월 24일 (금) 11:53 차이 역사 +1,599 새글 카이제곱 검정 새 문서: 분류: 통계 해석 == 개요 ==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 은 카이제곱 분포에 기초한 통계적 방법으로, 관찰된 빈도가 기대되는 빈도와 의미있게 다른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증방법이다. 자료가 빈도로 주어졌을 때, 특히 명목척도 자료의 분석에 이용된다. 카이제곱 값은 χ<sup>2</sup> = Σ (관측값 - 기댓값)<sup>2</sup> / 기댓값 으로 계산한다....
  • 11:532023년 3월 24일 (금) 11:53 차이 역사 +3,202 새글 사다리꼴 공식 새 문서: 분류:수치 해석 == 개요 == 함수의 정적분을 해석적인 방식으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구간을 아주 작게 분할해서 근사값을 구하는 방법중 하나로써, 함수의 구간을 사다리꼴 형식으로 나눈다. == 정의 == 닫힌구간 <math>[t_0,t_N]</math> 위의 적분 가능 함수 :<math>f\colon [t_0,t_N]\to \mathbb R</math> 및 수열 :<math>t_0 \le t_1 \le \dotsc \le t_{N-1} \le t_N</math> 이 주어졌다고 하자.... 최신
  • 11:522023년 3월 24일 (금) 11:52 차이 역사 +18 새글 분류:수치 해석 새 문서: 분류: 수학 최신
  • 11:522023년 3월 24일 (금) 11:52 차이 역사 +3,033 새글 심슨법 새 문서: 분류:수치 해석 == 개요 == 수치해석에서 해석적으로 적분 가능한 함수를 심슨법에서는 2차 함수로 근사하여 적분한다. == 단구간에서의 적분 == 심프슨 공식은 <math>P(x)</math>라는 이차방정식을 이용해 <math>f(x)</math>의 근사값을 구한다. 이때 <math>P(x)</math>는 ''a'', ''b'', 그리고 둘의 중간값 <math>m = \textstyle \frac{a+b}2</math>에서 <math>f(x)</math>와 같은 값을 갖는 근사... 최신
  • 11:522023년 3월 24일 (금) 11:52 차이 역사 +3,539 새글 이분법 새 문서: 분류: 수치 해석 == 개요 == 수학에서 이분법은 근이 반드시 존재하는 폐구간을 이분한 후, 이 중 근이 존재하는 하위 폐구간을 선택하는 것을 반복하여서 근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간단하고 견고하며 해의 대략적 위치를 안다면 일정 오차 내에 있는 1개의 해는 무조건 도출이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느린 방식이다. 이분법은 근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를 전제로... 최신
  • 11:512023년 3월 24일 (금) 11:51 차이 역사 +583 새글 수치 적분 새 문서: 분류:수치 해석 == 개요 == 수치 적분이란 해석적으로 적분가능한 함수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적분하는 것을 말한다. == 분류 == === 뉴턴-코우트 (Newton-Cotes) === 구간을 같은 간격으로 분할한다. # 중점법 # 사다리꼴 공식 # 심슨 적분법 === Chebyshev === 간격이 같지 않은 구간과 일정한 가중 계수를 이용한 공식이다. === 가우스 공식 === 간격이 같... 최신
  • 11:512023년 3월 24일 (금) 11:51 차이 역사 +14,732 새글 가우스 소거법 새 문서: 분류:수치 해석 선형대수학에서, '''가우스 소거법'''은 연립일차방정식을 풀이하는 알고리즘이다. 풀이 과정에서, 일부 미지수가 차츰 소거되어 결국 남은 미지수에 대한 선형 결합으로 표현되면서 풀이가 완성된다. 가우스 소거법은 보통 행렬을 사용하며, 첨가 행렬을 그와 풀이가 같은 더 간단한 행렬로 변환하여 풀이를 완성한다. 가우스 소... 최신
  • 11:492023년 3월 24일 (금) 11:49 차이 역사 +1,859 새글 Shell sort 새 문서: 분류:정렬 == 개요 == 삽입 정렬은 정렬의 편차가 매우 심하다. 좋은 경우 n 만에 수행 하지만 최악의 경우 n^2 이 수행된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배열을 "어느정도" 정렬된 상태로 만들고 삽입 정렬을 시행하는 방식이다. Divide and Conquer의 한 방식으로 우선 배열을 정해진 개수만큼 나눈뒤, 삽입정렬을 수행하고 다시 합치면서 삽입정렬을 수행해 나간다.... 최신
  • 06:132023년 3월 24일 (금) 06:13 차이 역사 +6,728 새글 EBPF verifier 새 문서: 분류: EBPF == 개요 == eBPF프로그램의 안정성은 두 가지 단계를 통해서 확보된다. 첫번째로는 DAG체크를 통해서 루프를 허용하지 않는 것이며, CFG체크이다. CFG는 도달할 수 없는 코드가 eBPF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두번째 단계는 첫번째 Instruction에서 모든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는 모든 명령어를 실제 가상의 Verifier내부에서 시뮬레이션 하여서 레... 최신
  • 04:022023년 3월 24일 (금) 04:02 차이 역사 +9 미디어위키:Liberty-Navbar 편집 요약 없음

2023년 3월 23일 (목)

2023년 3월 22일 (수)

2023년 3월 21일 (화)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