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8일 (목)
- 09:412023년 6월 8일 (목) 09:41 차이 역사 +4,148 새글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네트워크 주소 변환''', 줄여서 '''NAT''')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 최신
- 09:412023년 6월 8일 (목) 09:41 차이 역사 +461 새글 Additive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정의 == Additive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br> 가법적 증가 승법적 감소 == 개요 == TCP 혼잡제어에서 cwnd (congestion window)크기를 조절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면 혼잡 윈도우(cwnd)의 크기가 톱니바퀴 모양으로 보이게 된다. == 공식 == 연결의 평균 처리율 = <big><math>\frac{0.75*W}{RTT}</math></big><br> W는 최대 cwnd크기 이다. 최신
- 09:402023년 6월 8일 (목) 09:40 차이 역사 +40 새글 UDP User datagram protocol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402023년 6월 8일 (목) 09:40 차이 역사 +34 새글 분류:트랜스포트 계층 새 문서: 분류: 컴퓨터 네트워킹 최신
- 09:402023년 6월 8일 (목) 09:40 차이 역사 +2,891 새글 User datagram protocol 새 문서: 분류:트랜스포트 계층 == 개요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은 프로토콜의 주요 프로토콜 가운데 하나이다. 1980년에 데이빗 리드가 설계하였고, 현재 IETF의 RFC 768로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TCP와 함께 데이터그램으로 알려진 단문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UDP는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라고 일컫...
- 09:392023년 6월 8일 (목) 09:39 차이 역사 +41 새글 BGP Border gateway protocol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92023년 6월 8일 (목) 09:39 차이 역사 +960 새글 Border gateway protocol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경계 경로 프로토콜(BGP, Border Gateway Protocol)은 인터넷에서 주 경로 지정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의 한 종류이다. 인터넷에서 자율 시스템(AS) 중 라우팅 및 도달 가능성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화된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의 하나이다. BGP는 거리벡터 방식의 내부 Autonomous System의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BGP는 external BGP... 최신
- 09:382023년 6월 8일 (목) 09:38 차이 역사 +2,400 새글 Go-Back-N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Go-Back-N''' 은 자동화된 신뢰도 있는 패킷의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로써, 파이프 라인을 형성하는 일련의 패킷을 ACK 응답이 없어도 지속적으로 보내는 방식이다. N개의 슬라이딩 윈도우를 만들어서 패킷을 보내게 된다. 이는 N개의 패킷을 ACK 응답이 없어도 보낼 수 있게 해준다. == 설명 == 수신자는 다음 현재 받는 올바른... 최신
- 09:382023년 6월 8일 (목) 09:38 차이 역사 +51 새글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82023년 6월 8일 (목) 09:38 차이 역사 +3,617 새글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 기록된 주요 프로토콜 가운데 하나이다. 네트워크 컴퓨터 위에서 돌아가는 운영체제에서 오류 메시지(Requested service is not available 등)를 전송받는 데 주로 쓰이며 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요 구성원 중 하나로 인터넷 프로토콜에 의존하여 작업을... 최신
- 09:372023년 6월 8일 (목) 09:37 차이 역사 +30 새글 Protocol 프로토콜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72023년 6월 8일 (목) 09:37 차이 역사 +829 새글 프로토콜 새 문서: 분류: 컴퓨터 네트워킹 == 정의 == 프로토콜은 둘 이상의 통신 개체 간에 교환되는 메시지 포맷과 순서뿐 아니라, 메시지의 송수신과 다른 이벤트에 따른 행동들을 정의한다. === 쉬운 정의 === 프로토콜은 언어와 같다. 한국어와 일본어, 둘다 정보의 전달을 목표로 하지만 사용하는 문자는 다르다. 프로토콜은 어떤 의사소통의 약속이다.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최신
- 09:362023년 6월 8일 (목) 09:36 차이 역사 +11 혼잡제어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9:362023년 6월 8일 (목) 09:36 차이 역사 +30 새글 Congestion control 혼잡제어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62023년 6월 8일 (목) 09:36 차이 역사 +1,670 새글 혼잡제어 새 문서: 분류:인터넷 ==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공평성 == === 악성적인 사용자의 제제 === TCP는 혼잡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해 스스로의 이익을 버리고 공통의 이익을 가져가려 노력한다. 그러나 여러 라우터들 사이에서 악성적인 사용자가 스스로의 TCP매커니즘을 수정하여 최대한의 패킷을 보내려고 한다면 어떻게 조치할 것인가? 이런 경우에는 라우터 자체에서 제제할 수...
- 09:362023년 6월 8일 (목) 09:36 차이 역사 +2,327 새글 네트워크 구조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다양한 종단 시스템에서 어떻게 조직되는지 지시한다. 많은 애플리케이션 구조가 있지만 그중 클라이언트-서버구조 혹은 P2P 구조가 널리 쓰인다. == 클라이언트-서버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많은 접속 요청을 받는다. 클라이언트 호스트는 가끔 혹은 항상 켜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호스팅은 클라인언트 호스트로부터... 최신
- 09:352023년 6월 8일 (목) 09:35 차이 역사 +24 새글 Socket 소켓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52023년 6월 8일 (목) 09:35 차이 역사 +2,914 새글 소켓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네트워크 소켓'''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프로세스 간 통신의 종착점이다. 오늘날 컴퓨터 간 통신의 대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네트워크 소켓은 '''인터넷 소켓'''이다.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들은 소켓을 생성하고, 이 소켓을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소켓은 RFC 147... 최신
- 09:342023년 6월 8일 (목) 09:34 차이 역사 +14 Quality of service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9:342023년 6월 8일 (목) 09:34 차이 역사 +36 새글 QoS Quality of service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32023년 6월 8일 (목) 09:33 차이 역사 +1,344 새글 Quality of service 새 문서: 분류:인터넷 섬네일 == 개요 == Quality of Service 네트워크 계층에서 통신의 질을 알려주는 지표들을 칭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지표들은 서로 상관되는 관계로써 한쪽이 높으면 다른 한 쪽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발전으로 다 같이 좋아지고 있기는 하다. 무선통신은 유선통신보다 패킷 손실의 위험이 더욱 크기 때문에,...
- 09:322023년 6월 8일 (목) 09:32 차이 역사 +7,700 새글 HTTP 응답 코드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1XX == 정보 전달: 요청을 받았고, 작업을 진행 중이라는 의미이다. HTTP/1.0 이후 정의되지 않았다. 서버들도 클라이언트에게 이 코드를 보내지는 않는다. 단 101의 경우 WebSocket등에서 쓰인다. * 1xx: Informational - Request received, continuing process * 100 Continue * 101 Switching Protocols * 102 Processing == 2XX == 성공: 이 작업을 성공적으로 받았고, 이해했으며,... 최신
- 09:322023년 6월 8일 (목) 09:32 차이 역사 +7,704 새글 P2P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P2P'''(peer-to-peer network) 혹은 '''동등 계층간 통신망'''(同等階層間通信網)은 비교적 소수의 서버에 집중하기보다는 망구성에 참여하는 기계들의 계산과 대역폭 성능에 의존하여 구성되는 통신망이다. P2P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노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이용된다. 오디오나 비디오, 데이터 등 임의의 디지... 최신
- 09:312023년 6월 8일 (목) 09:31 차이 역사 +36 새글 DNS Domain name system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12023년 6월 8일 (목) 09:31 차이 역사 +4,262 새글 Domain name system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호스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디렉터리 서비스를 DNS [domain name system]이라 호칭한다. DNS 는 서버들이 계층구조로 구현된 분산 데이터베이스이고, 호스트가 분산 데이터베이스로 질의하도록 허락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DNS 서버는 주로 BIND를 수행하는 유닉스 컴퓨터 이다. DNS 프로토콜은 UDP 상에... 최신
- 09:302023년 6월 8일 (목) 09:30 차이 역사 +40 새글 FTP File transfer protocol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02023년 6월 8일 (목) 09:30 차이 역사 +1,101 새글 File transfer protocol 새 문서: 분류: 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들이 파일을 교환하기 위해 1971년에 최초로 공개된 통신 규약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원활하게 교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파생형으로 FTP에 TLS 프로토콜이 적용된 FTPS가 있으며,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SSH 프로토콜... 최신
- 09:282023년 6월 8일 (목) 09:28 차이 역사 +264 새글 Emphasis 새 문서: 분류: Style: Lessions in Clarity and Grace == 개요 == 문장을 어떻게 끝내는지도 글쓰기에서 매우 중요하다. 문장에서 시작과 끝, 그리고 강조의 중심을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여기서 설명한다. == Complexity ==
- 07:192023년 6월 8일 (목) 07:19 차이 역사 +30 새글 Para virtualization 반가상화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전환됨
- 07:182023년 6월 8일 (목) 07:18 차이 역사 +82 잔글 IX: A Protected Dataplane Operating System for High Throughput and Low Latency →Conclusion 태그: 시각 편집
- 07:172023년 6월 8일 (목) 07:17 차이 역사 +6,902 새글 IX: A Protected Dataplane Operating System for High Throughput and Low Latency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논문 Adam Belay, George Prekas, Ana Klimovic, Samuel Grossman, Cristos Kozyrakis, Edouard Bugnion 11th USENIX Symposium on Operating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OSDI ’14) ==개요== IX는 Data plane과 Control plane이 혼합되어 있는 리눅스 커널의 Network stack을 분리하여서, Hardware-based isolation기법의 도움을 통해서 Data plane은 유저 프로그램에, 그리고 Control plane은 커널에 두도록 하여서,...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06:332023년 6월 8일 (목) 06:33 차이 역사 +87 새글 파일:IX- A Protected Dataplane Operating System for High Throughput and Low Latency Figure 1.png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5:082023년 6월 8일 (목) 05:08 차이 역사 +26 새글 배칭 Batching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5:072023년 6월 8일 (목) 05:07 차이 역사 +121 잔글 Batching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5:062023년 6월 8일 (목) 05:06 차이 역사 +1,053 새글 Batching 새 문서: 분류: 시스템 최적화 == 개요 == 배칭 (Batching)이란 시스템의 자원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모아서 한번에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Read operation을 배칭 없이 수행한다면, 100K씩 모든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스택을 타고 처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100k의 Read-operation을 묶어서 한번에 처리한다면, 한번만 파일 시스템 스택을 타서 모든 명...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04:532023년 6월 8일 (목) 04:53 차이 역사 +39 Throughput and latency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4:532023년 6월 8일 (목) 04:53 차이 역사 +40 새글 Latency Throughput and latency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4:532023년 6월 8일 (목) 04:53 차이 역사 +40 새글 Throughput Throughput and latency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4:042023년 6월 8일 (목) 04:04 차이 역사 +34 분류:시스템 논문 편집 요약 없음
- 03:592023년 6월 8일 (목) 03:59 차이 역사 +3,157 새글 Unikraft: Fast, Specialized Unikernels the Easy Way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논문 Simon Kuenzer, ..., Felipe Huici EuroSys 2021 <Best paper> == 개요 == 이 논문은 커널을 최대한 Modularize하여서, Unikernel을 만들때, Modularized된 시스템에서 쉽고 간편하게 각 모듈을 바꾸어서 Unikernel의 단점이었던 Significant expert work를 줄인 논문이다. == Motivation & Importance == 기존의 Unikernel의 General purpose OS의 Generality를 극복하여 Specialization을 위해서 사용된...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2023년 6월 7일 (수)
- 10:002023년 6월 7일 (수) 10:00 차이 역사 +209 잔글 Cohesion and coherence →흔한 오해들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9:582023년 6월 7일 (수) 09:58 차이 역사 0 잔글 Cohesion and coherence →흔한 오해들 태그: 시각 편집
- 09:552023년 6월 7일 (수) 09:55 차이 역사 +4,898 Cohesion and coherence 편집 요약 없음
- 06:092023년 6월 7일 (수) 06:09 차이 역사 +4,724 새글 Unikernel Linux (UKL)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논문 Ali Raza, 외 10명, Orran Krieger EuroSys '23: Eighteenth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Systems == 개요 == Unikernel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Linux Kernel그 자체를 간단한 설정으로 Unikernel로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 Motivation == General-purpose operating systems들은 Specialization이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Unikernel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커널...
- 04:282023년 6월 7일 (수) 04:28 차이 역사 +576 Unikernels: Library operating systems for the cloud 편집 요약 없음
2023년 6월 5일 (월)
- 06:372023년 6월 5일 (월) 06:37 차이 역사 −6 NIC 넘겨주기 대상을 Network interface controller에서 Network interface card 문서로 변경했습니다 최신 태그: 넘겨주기 대상 변경
- 06:372023년 6월 5일 (월) 06:37 차이 역사 +46 새글 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6:372023년 6월 5일 (월) 06:37 차이 역사 +2,962 새글 Network interface card 새 문서: 분류:링크 계층 == 개요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etwork interface controller, NIC)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1] 네트워크 카드(network card), 랜 카드(문화어: 망카드, 망기판, LAN card),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physical network interface)[2]라고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네트워크 카드, 이더... 최신
- 06:362023년 6월 5일 (월) 06:36 차이 역사 +41 새글 오류 검출 오류 검출과 정정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6:362023년 6월 5일 (월) 06:36 차이 역사 +28 새글 패리티 비트 Ahn9807님이 패리티 비트 문서를 Parity bit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