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편집 수: 2,137건. 계정 생성일: 2023년 2월 3일 (금).
기여 검색펼치기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3년 2월 16일 (목)

  • 08:182023년 2월 16일 (목) 08:18 차이 역사 +626 새글 Dennard Scailing 새 문서: 분류: 시스템 최적화 == 개요 ==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줄일 수록, 트랜지스터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전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법칙이다. 또한 임계전압이 낮을 수록 더 빠른 응답속도를 보일 수 있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같은 영역에서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박아넣을 수록 더 빨리 트랜지스터의 반응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 방법을 통해서 CPU의...
  • 08:022023년 2월 16일 (목) 08:02 차이 역사 +34 새글 Moore's law 무어의 법칙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8:022023년 2월 16일 (목) 08:02 차이 역사 +1,195 새글 무어의 법칙 새 문서: 분류: 시스템 최적화 == 개요 == 무어의 법칙이란 한 칩의 트랜지스터의 개수가 18개월마다 두배로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인텔의 고든 무어가 1965년에 주장한 법칙. $1000로 살 수 있는 반도체의 집적회로 성능은 2년마다 2배로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좀 더 광범위하게 정의하면 컴퓨터의 성능은 일정 시기마다 배가하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법칙을 말한다고... 최신
  • 08:022023년 2월 16일 (목) 08:02 차이 역사 +1,159 새글 Instruction-level parallelism 새 문서: 분류: 시스템 최적화 == 개요 == 명령어 수준 병렬 처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실행할 수있는 명령어 수를 측정 한 것이다. ILP는 하나의 스레드에서 명령어를 동시에 처리한는 것을 말한다. == 종류 == # Pipelining: CPU의 작동은 fetch->decode->execute->memory->write와 같은 여러 단계를 거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각각의 단계가 일어나는 동안 다른 단계가 쉬고... 최신
  • 08:002023년 2월 16일 (목) 08:00 차이 역사 +43 새글 MPI Message passing interface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8:002023년 2월 16일 (목) 08:00 차이 역사 +1,901 새글 Message passing interface 새 문서: 분류: 스토리지 == 개요 == 메시지 전달 인터페이스(Message Passing Interface, MPI)는 분산 및 병렬 처리에서 정보의 교환에 대해 기술하는 표준이다. 병렬 처리에서 정보를 교환할 때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들과 문법, 그리고 프로그래밍 API 에 대해 기술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프로토콜이나 각각의 구현에 대한 것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는, 하나의 거시적인 테두리를 정... 최신
  • 07:592023년 2월 16일 (목) 07:59 차이 역사 +1,751 새글 워드 새 문서: 분류: 정보 표현 == 개요 == 컴퓨터에서 메모리가 가지는 주소의 길이 (포인터의 길이를 포시한다. 예를 들어 32비트 컴퓨터는 한 워드가 32비트이다. w 비트 워드를 가지는 컴퓨터에서 컴퓨터의 가상주소는 [0 ~ <math> 2^w - 1</math>]byte 의 크기를 가진다. 이때 쉽게 착각 하기 쉬운 것이 byte 가 아니라 bit 라고 생각 하는 것인데, 컴퓨터의 메모리는 하나의 주소가... 최신
  • 07:592023년 2월 16일 (목) 07:59 차이 역사 +2,471 새글 이진법 새 문서: 분류: 정보 표현 == 개요 == 0과 1로 구성된 숫자의 표현이다. 예를 들어 123(기수 10) = 1111011(기수 2)로 표현할 수 있다. 어떤 기수의 숫자에서 i번째 숫자 d의 값은 다음과 같다. <math> d * Base^i </math> == LSB / MSB == LSB (Least significant bit) 의 약자로써 가장 오른쪽의 비트 0을 나타내고, MSB (Most significant bit)은 가장 왼쪽의 비트를 나타낸다. MSB는 부호나 제일 큰 지수를 나... 최신

2023년 2월 14일 (화)

2023년 2월 13일 (월)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