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iwik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5년 5월 19일 (월) 05:1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INCOGNITOS: A Practical Unikernel Design for Full-System Obfuscation in Confidential Virtual Machin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IEEE S&P Kha Dinh Duy, Jaeyoon Kim, Hajeong Lim, and Hojoon Lee IEEE S&P 2025 == 개요 == 최근 연구들은 사이드 채널 공격이 Intel SGX와 같은 신뢰 실행 환경(TEE)의 기밀성을 무력화할 수 있음을 반복적으로 입증해왔다. 한편,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기밀 가상머신(CVM) 기술로의 전환이 진행 중이지만, 기존의 사이드 채널 공격 중 일부는 여전히 유효하며, CVM을 대상으로 한 새...)
- 2025년 5월 19일 (월) 05:0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Oblivious RA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소프트웨어 기반 보안 == 개요 == ORAM은 알고리즘의 Input-output의 결과는 유지하면서, 메모리 접근 패턴을 숨기는 기법을 말한다. ORAM은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공격자가 메모리 접근 패턴을 가지고 유의미한 공격을 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메모리접근 위치를 모르게 하거나, 패턴을 랜덤화 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메모리를 보호한다. Turing machine(TM)은 In...)
- 2025년 5월 19일 (월) 04:2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INCOGNITOS.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5월 19일 (월) 04:2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INCOGNITOS.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19일 (월) 01:3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SwiftSweep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SwiftSweeper: Defeating Use-After-Free Bugs Using Memory Sweeper Without Stop-the-World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8일 (일) 09:5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Use-after-fre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Use after free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8일 (일) 09:3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분류:IEEE EuroS&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논문)
- 2025년 5월 18일 (일) 09:3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XTag: Mitigating Use-After-Free Vulnerabilities via Software-Based Pointer Tagging on Intel x86-64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IEEE EuroS&P Lukas Bernhard, Michael Rodler, Thorsten Holz, and Lucas Davi 2022 IEEE 7th European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EuroS&P) == 개요 == Use after free버그를 해결하기 위해서, Software 기반의 Memory tagging기법과 이를 이용한 UAF Prevention기법을 제시하였다. == Motivation == ARM MTE와 같은 메모리 태깅 기법은 보안에 있어서 중요한 기법이다. 그러나 Intel X86과 같은 경우에는 메...)
- 2025년 4월 30일 (수) 03:14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미디어위키:Citizen.cs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여기의 모든 CSS는 시티즌 스킨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로드됩니다: @media screen { Hero image: .citizen-page-container:before { background-image: url(mages/d/de/사진_2023-1-3.jpg); background-position: 70% center; } One Ring Inscription: .citizen-body-container::after { background-image: url(mages/d/de/사진_2023-1-3.jpg); }: } Middle Earth map: @media screen and (min-width: 1...)
- 2025년 4월 25일 (금) 11:23 Ahn9807 토론 기여님이 Adaptive Huge-Page Subrelease for Non-moving Memory Allocators in Warehouse-Scale Computer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ACM ISMM Martin Maas, Chris Kennelly, Khanh Nguyen, Darryl Gove, Kathryn S. McKinley, Paul Turner ACM ISMM 2021 == 개요 == == Motivation & Importance == TLB압력을 줄이기 위해서 Huge page를 써야 한다. Huge page를 사용하면 Internal fragmentation문제를 겪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Huge page-aware memroy allocator(E.g., TCMALLOC)과 같은 경우에는 Linux THP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Huge page를 할당하고...)
- 2025년 4월 25일 (금) 10:5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ISMM 2021 Martin Maas Figure 5.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25일 (금) 10:5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ISMM 2021 Martin Maas Figure 5.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23일 (수) 06:01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분류:ACM ISM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논문)
- 2025년 4월 22일 (화) 11:23 Ahn9807 토론 기여님이 Predicting Dynamic Properties of Heap Allocations using Neural Networks Trained on Static Co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ACM ISMM Christian Navasca, Martin Mass, Petros Maniatis, Hyeontake Lim, Guoqing Harry Xu ACM ISMM 2023 == 개요 == 머신러닝을 통해서 Memory allocator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보를 예츷하는 솔류션을 개발하였다. == Motivation & Importance == Memory Allocator나 Runtime system과 같은 경우에는 Predicted properties에 성능의 개선을 위해서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Predicted properties들에는 object lifetim...)
- 2025년 4월 22일 (화) 07:04 Ahn9807 토론 기여님이 Defeating Use-After-Free Bugs Using Memory Sweeper Without Stop-the-World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SwiftSweeper: Defeating Use-After-Free Bugs Using Memory Sweeper Without Stop-the-World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4월 12일 (토) 09:33 Ahn9807 토론 기여님이 Fragmentati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메모리 단편화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4월 12일 (토) 05:54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ASPLOS 2020 LLAMA Figure 6.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12일 (토) 05:54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ASPLOS 2020 LLAMA Figure 6.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12일 (토) 04:2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ASPLOS 2020 LLAMA Figure 3.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12일 (토) 04:2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ASPLOS 2020 LLAMA Figure 3.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11일 (금) 09:5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Learning-based Memory Allocation for C++ Server Workload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ACM ASPLOS Martin Mass, David G. Andersen, Michael Isard, Mohammad Mahdi Javanmard, Kathryn S. McKinley, Colin Raffel ACM ASPLOS 2025 == 개요 == Huge page에서 Fragmentation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AI기술을 사용해서 Object lifetime을 추적, Fragmentation을 줄이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 Motivation & Importance == 기존 OS에서 사용하는 Huge page management는 life-time에 대한 고려가 없기...)
- 2025년 4월 11일 (금) 02:4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위젯:PDFView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widget xmlns="http://www.mediawiki.org/xmlns/widgets-1.0"> <parameters> <param name="url" type="string" required="true" /> <param name="width" type="string" default="100%" /> <param name="height" type="string" default="600px" /> </parameters> <html><![CDATA[ <iframe src="https://mozilla.github.io/pdf.js/web/viewer.html?file={$url}" width="{$width}" height="{$height}" style="border: none;"></iframe> ]]></html> </widget>)
- 2025년 4월 11일 (금) 02:1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Lessons in Clarity and Grace.pd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11일 (금) 02:1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Lessons in Clarity and Grace.pdf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10일 (목) 12:4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USENIX FAST 2025 MoonCacke.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10일 (목) 12:4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USENIX FAST 2025 MoonCacke.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9일 (수) 10:4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PolyStore: Exploiting Combined Capabilities of Heterogeneous Storag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USENIX FAST Yujie Ren, David Domingo, Jian Zhang, Paul John, Rekha Pitchumani, Sanidhya Kashyap, Sudarsun Kannan USENIX Security 2025 == 개요 == Heterogeneous system이 점차 대두하는 가운데, 현재 존재하는 Caching, Tiering, Application directed방식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를 타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transparent하게 여러 Heterogeous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는 fine-grained한 레이어를 유저레벨에 구...)
- 2025년 4월 9일 (수) 08:2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USENIX FAST 2025 PolyStore Figure 2.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9일 (수) 08:2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USENIX FAST 2025 PolyStore Figure 2.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5일 (토) 07:3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BUDAllo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BUDAlloc: Defeating Use-After-Free Bugs by Decoupling Virtual Address Management from Kernel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4월 5일 (토) 07:36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멀티코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nowiki>#</nowiki>넘겨주기 Multicore)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5일 (토) 07:34 Ahn9807 토론 기여님이 LS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Linux Security Modules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일 (수) 07:3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Selective On-Device Execution of Data-Dependent Read I/O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USENIX FAST Chanyoung Park, Minu Chung, and Hyungon Moon 23rd USENIX Conference on File and Storage Technologies == 개요 == On-device와 In-kernel Near-storage processing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인 SODE를 제시함. SODE는 동적으로 현재 On-device core의 busniess에 따라서 Resubmission logic이 Kernel과 Storage에 적절히 Scheduling할 수 있도록 설계함. 이를 통해서 기존 SOTA였던 XRP보다 향상된...)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일 (수) 05:46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FAST 2025 SODE.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2일 (수) 05:46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FAST 2025 SODE.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3월 31일 (월) 03:4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KV Cach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Transformer model == 개요 == Autoregression모델에서, KV Cache는 전에 계산한 K값과 V값들을 캐싱하여, 현재 토큰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중복되는 연산을 줄여서 생성 속도의 향상을 꾀하는 Caching모델이다. KV Cache는 대표적인 Computing & Memory trade-off를 이용한 방법이다. == 필요성 == 파일:KV_Cache.gif|프레임없음|600픽셀|가운데|https://medium.com/@joaolages/kv-caching-explained-2765...)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2025년 3월 31일 (월) 03:41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KV Cache.gi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3월 31일 (월) 03:41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파일:KV Cache.gif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3월 29일 (토) 08:46 Ahn9807 토론 기여님이 Transform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Transformer model == 개요 == Transformer모델은 RNN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Attention을 최대한 활용하여, 문장내의 각 문맥의 중요도를 최대한 언어 모델에 반영하기 위해서 개발된 모델이다. Transformer모델에서 제안한 디자인은 크게 Tokenization, Embedding, Positional Encoding, Attention layer을 여러개 쌓아 만들어진 Encoder, Decoder부분 그리고 Encoder self-attention, Masked decode...)
- 2025년 3월 29일 (토) 06:4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분류:Transformer mode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인공지능)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2025년 3월 28일 (금) 04:04 Ahn9807 토론 기여님이 Attenti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Transformer model == 개요 == Attention은 기계학습에서 Sequence의 각각의 부분이 얼마나 중요한지를(즉, 얼만큼 관심있게 처리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매커니즘이다. Attention is all you need논문이 나오기 전에는 RNN에 의한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그후에는 Transformer모델이 주축이 되어서 Attention을 처리하고 있다. Attention매커니즘은 RNN의 단점인, Vanishing gradie...)
- 2025년 3월 27일 (목) 05:4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TB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TTFT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3월 27일 (목) 05:46 Ahn9807 토론 기여님이 Time between tok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인공지능 == 개요 == Time between token(TBT)는 LLM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중 하나로, 모델이 첫번째 토큰을 생성한후(TTFT)각 후속 토큰을 생성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한다. TB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BT = <math>\frac{T_{\text{total}} - T_{\text{first}}}{N - 1}</math> 여기서, * <math>T_{\text{total}}</math> = 전체 응답 생성 시간 * <math>T_{\text{first}}</math> = 첫 번째 토...)
- 2025년 3월 27일 (목) 05:43 Ahn9807 토론 기여님이 TTF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Time to first token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3월 27일 (목) 05:4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Time to first tok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인공지능 == 개요 == Time to first token(TTFT)는 LLM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자가 프롬프트를 입력한 후 첫 번째 토큰이 생성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LLM의 Latency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TTFT는 LLM이 "첫 반응을 제공하는 속도"를 나타내며,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친다. <syntaxhighlight lang=python> import time import openai start_time = time.time()...)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2025년 3월 26일 (수) 07:43 Ahn9807 토론 기여님이 GRU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Gate recurrent unit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3월 26일 (수) 07:43 Ahn9807 토론 기여님이 Gated recurrent uni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딥러닝 == 개요 == 섬네일 GRU (Gated Recurrent Unit) RNN의 한 종류로, LSTM을 개선한 모델이다. GRU는 LSTM의 복잡한 구조를 간소화하고 계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특히 시계열 데이터나 순차적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GRU는 LSTM과 비슷한 방식으로 동작하지만, 구조가 더 단순하고 계산 자원을 덜 소모...)
- 2025년 3월 26일 (수) 07:3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LST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Long short-term memory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3월 26일 (수) 07:31 Ahn9807 토론 기여님이 Long short-term memo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딥러닝 == 개요 == 섬네일 LSTM은 RNN의 일종으로 Lon-term dependency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모델이다. RNN은 Gradient vanishing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예를 들어서, "비가 오는 날에는 공연히 집에만 있고 싶어지네요. 그날도 ( )가 왔죠."에서 ( )에는 비가 들어가 되지만, Gradient vanshing으로 인해서 ( )에 들어가는 말을 엉뚱하게 예측할 수...)
- 2025년 3월 26일 (수) 07:0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RN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Recurrent neural network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