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11일 (일)
- 04:172023년 6월 11일 (일) 04:17 차이 역사 +4,193 Emphasis 편집 요약 없음 최신
2023년 6월 9일 (금)
- 05:332023년 6월 9일 (금) 05:33 차이 역사 +324 대문 편집 요약 없음
- 05:322023년 6월 9일 (금) 05:32 차이 역사 +748 새글 분류:수학 새 문서: 수학은 숫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수량과 도형 및 그것들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이다. 수학은 본질적인 것만을 기호로 표현하는 ‘과학의 언어’라고 하며, 자연과학과 거의 모든 분야의 학문에 공헌하는 기초학문이다. 기하학과 대수학으로 나뉘어 발전해 왔고 현재는 62개 분야에 이른다. 우리 전통수학은 사대부의 교양으로서 관념적인 수학과, 재정회계 등 실무를... 최신
- 05:232023년 6월 9일 (금) 05:23 차이 역사 +934 새글 분류:논문 작성법 새 문서: 논문 쓰는 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중심적으로, 영어 그리고 과학 논문, 특히 공학에서 논문을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를 서술한다. 중요한 것은 여기의 내용은 가이드라인일 뿐이라는 것이다. 논문을 잘 쓰기 위해서는, 형식, 그리고 표현이 좋아야 한다. 특히 아이디어가 좋더라도, 정말 좋지 않으이상은, 형식과 표현이 나쁘면 나쁜 인상을 주게 되고, 논문이 탈락... 최신
2023년 6월 8일 (목)
- 10:032023년 6월 8일 (목) 10:03 차이 역사 +122 대문 편집 요약 없음
- 09:552023년 6월 8일 (목) 09:55 차이 역사 +83 대문 편집 요약 없음
- 09:532023년 6월 8일 (목) 09:53 차이 역사 +34 새글 분류:클라우드 컴퓨팅 새 문서: 분류: 컴퓨터 네트워킹 최신
- 09:522023년 6월 8일 (목) 09:52 차이 역사 −1 잔글 분류:동시성 프로그래밍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9:522023년 6월 8일 (목) 09:52 차이 역사 +25 새글 분류:동시성 프로그래밍 새 문서: 분류: 전산 과학
- 09:502023년 6월 8일 (목) 09:50 차이 역사 −472 잔글 대문 편집 요약 없음
- 09:482023년 6월 8일 (목) 09:48 차이 역사 +43 새글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472023년 6월 8일 (목) 09:47 차이 역사 +2,001 새글 Internet service provider 새 문서: 분류:컴퓨터 네트워킹 == 개요 == '''Internet Service Provider'''<br>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이다. ISP 는 대학이 될수 도 있고, 회사가 될수도 있으며, 통신사도 ISP이고 더 나아가 대륙과 대륙을 연결하는 ISP도 있다. == 1 계층 ISP == 대략 12개 정도의 1 계층 ISP가 있다. 이들은 대륙을 연결하거나 대륙을 책임지는 스케일의 라우터들을 가지고 있다. == 2 계층 ISP =... 최신
- 09:462023년 6월 8일 (목) 09:46 차이 역사 +5,272 새글 TCP/IP 포트번호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는 특정한 쓰임새를 위해서 IANA에서 할당한 TCP 및 UDP 포트 번호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포트 번호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0번 ~ 1023번: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 * 1024번 ~ 49151번: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 * 49152번 ~ 65535번: 동적 포트 (dynamic port) 대부분의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최신
- 09:452023년 6월 8일 (목) 09:45 차이 역사 +1,909 새글 Port 새 문서: 분류:트랜스포트 계층 == 개요 == '''포트'''(port)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주로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라 하며, 예를 들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가 있... 최신
- 09:442023년 6월 8일 (목) 09:44 차이 역사 +48 새글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442023년 6월 8일 (목) 09:44 차이 역사 +677 새글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400px|오른쪽|CIDR 네트워크 계층에서 기존의 클래스 기반의 주소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주소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a.b.c.d/(숫자) 로 이 아이피의 어디까지가 외부에서 통용되는 아이피 주소인지 나타낸다. 이 앞 아이피 주소는 또한 그 서브넷의 네트워크 통신을 담당하는 라우... 최신
- 09:432023년 6월 8일 (목) 09:43 차이 역사 +35 새글 IP Internet protocol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432023년 6월 8일 (목) 09:43 차이 역사 +2,553 새글 Internet protocol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은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패킷 스위칭 네트워크, Packet Switching Network)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프로토콜, Protocol)이며,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한다. 줄여서 '''아이... 최신
- 09:432023년 6월 8일 (목) 09:43 차이 역사 +5,649 새글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 관리하기 위한 통신 규약. RFC 1541에 규정되어 있다. TCP/IP 환경의 통신망에서 IP 주소의 일률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초기 적재 통신 규약(BOOTP)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상의 프로토콜로서 DHCP 서버는 DHCP 클라이... 최신
- 09:422023년 6월 8일 (목) 09:42 차이 역사 +1,110 새글 IPv6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헤더 == 500px|프레임없음|중간|IPv6 == IPv6에서 삭제된 기능 == #단편화/재결합: IPv6에서는 단편화와 재결합을 출발지와 목적지만이 수행한다. 패킷이 너무 크면 라우터가 패킷크기 초과 ICMP메시지를 송신자에 보낸다. #헤더 체크섬: 트랜스포트와 링크 계층에 의존하게 된다. #옵션: 옵션필드가 제거되어 고정된 40비트... 최신
- 09:412023년 6월 8일 (목) 09:41 차이 역사 +45 새글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412023년 6월 8일 (목) 09:41 차이 역사 +4,148 새글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네트워크 주소 변환''', 줄여서 '''NAT''')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 최신
- 09:412023년 6월 8일 (목) 09:41 차이 역사 +461 새글 Additive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정의 == Additive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br> 가법적 증가 승법적 감소 == 개요 == TCP 혼잡제어에서 cwnd (congestion window)크기를 조절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면 혼잡 윈도우(cwnd)의 크기가 톱니바퀴 모양으로 보이게 된다. == 공식 == 연결의 평균 처리율 = <big><math>\frac{0.75*W}{RTT}</math></big><br> W는 최대 cwnd크기 이다. 최신
- 09:402023년 6월 8일 (목) 09:40 차이 역사 +40 새글 UDP User datagram protocol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402023년 6월 8일 (목) 09:40 차이 역사 +34 새글 분류:트랜스포트 계층 새 문서: 분류: 컴퓨터 네트워킹 최신
- 09:402023년 6월 8일 (목) 09:40 차이 역사 +2,891 새글 User datagram protocol 새 문서: 분류:트랜스포트 계층 == 개요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은 프로토콜의 주요 프로토콜 가운데 하나이다. 1980년에 데이빗 리드가 설계하였고, 현재 IETF의 RFC 768로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TCP와 함께 데이터그램으로 알려진 단문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UDP는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라고 일컫...
- 09:392023년 6월 8일 (목) 09:39 차이 역사 +41 새글 BGP Border gateway protocol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92023년 6월 8일 (목) 09:39 차이 역사 +960 새글 Border gateway protocol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경계 경로 프로토콜(BGP, Border Gateway Protocol)은 인터넷에서 주 경로 지정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의 한 종류이다. 인터넷에서 자율 시스템(AS) 중 라우팅 및 도달 가능성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화된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의 하나이다. BGP는 거리벡터 방식의 내부 Autonomous System의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BGP는 external BGP... 최신
- 09:382023년 6월 8일 (목) 09:38 차이 역사 +2,400 새글 Go-Back-N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Go-Back-N''' 은 자동화된 신뢰도 있는 패킷의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로써, 파이프 라인을 형성하는 일련의 패킷을 ACK 응답이 없어도 지속적으로 보내는 방식이다. N개의 슬라이딩 윈도우를 만들어서 패킷을 보내게 된다. 이는 N개의 패킷을 ACK 응답이 없어도 보낼 수 있게 해준다. == 설명 == 수신자는 다음 현재 받는 올바른... 최신
- 09:382023년 6월 8일 (목) 09:38 차이 역사 +51 새글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82023년 6월 8일 (목) 09:38 차이 역사 +3,617 새글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새 문서: 분류:네트워크 계층 == 개요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 기록된 주요 프로토콜 가운데 하나이다. 네트워크 컴퓨터 위에서 돌아가는 운영체제에서 오류 메시지(Requested service is not available 등)를 전송받는 데 주로 쓰이며 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요 구성원 중 하나로 인터넷 프로토콜에 의존하여 작업을... 최신
- 09:372023년 6월 8일 (목) 09:37 차이 역사 +30 새글 Protocol 프로토콜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72023년 6월 8일 (목) 09:37 차이 역사 +829 새글 프로토콜 새 문서: 분류: 컴퓨터 네트워킹 == 정의 == 프로토콜은 둘 이상의 통신 개체 간에 교환되는 메시지 포맷과 순서뿐 아니라, 메시지의 송수신과 다른 이벤트에 따른 행동들을 정의한다. === 쉬운 정의 === 프로토콜은 언어와 같다. 한국어와 일본어, 둘다 정보의 전달을 목표로 하지만 사용하는 문자는 다르다. 프로토콜은 어떤 의사소통의 약속이다.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최신
- 09:362023년 6월 8일 (목) 09:36 차이 역사 +11 혼잡제어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9:362023년 6월 8일 (목) 09:36 차이 역사 +30 새글 Congestion control 혼잡제어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62023년 6월 8일 (목) 09:36 차이 역사 +1,670 새글 혼잡제어 새 문서: 분류:인터넷 ==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공평성 == === 악성적인 사용자의 제제 === TCP는 혼잡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해 스스로의 이익을 버리고 공통의 이익을 가져가려 노력한다. 그러나 여러 라우터들 사이에서 악성적인 사용자가 스스로의 TCP매커니즘을 수정하여 최대한의 패킷을 보내려고 한다면 어떻게 조치할 것인가? 이런 경우에는 라우터 자체에서 제제할 수...
- 09:362023년 6월 8일 (목) 09:36 차이 역사 +2,327 새글 네트워크 구조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다양한 종단 시스템에서 어떻게 조직되는지 지시한다. 많은 애플리케이션 구조가 있지만 그중 클라이언트-서버구조 혹은 P2P 구조가 널리 쓰인다. == 클라이언트-서버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많은 접속 요청을 받는다. 클라이언트 호스트는 가끔 혹은 항상 켜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호스팅은 클라인언트 호스트로부터... 최신
- 09:352023년 6월 8일 (목) 09:35 차이 역사 +24 새글 Socket 소켓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52023년 6월 8일 (목) 09:35 차이 역사 +2,914 새글 소켓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네트워크 소켓'''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프로세스 간 통신의 종착점이다. 오늘날 컴퓨터 간 통신의 대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네트워크 소켓은 '''인터넷 소켓'''이다.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들은 소켓을 생성하고, 이 소켓을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소켓은 RFC 147... 최신
- 09:342023년 6월 8일 (목) 09:34 차이 역사 +14 Quality of service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9:342023년 6월 8일 (목) 09:34 차이 역사 +36 새글 QoS Quality of service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32023년 6월 8일 (목) 09:33 차이 역사 +1,344 새글 Quality of service 새 문서: 분류:인터넷 섬네일 == 개요 == Quality of Service 네트워크 계층에서 통신의 질을 알려주는 지표들을 칭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지표들은 서로 상관되는 관계로써 한쪽이 높으면 다른 한 쪽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발전으로 다 같이 좋아지고 있기는 하다. 무선통신은 유선통신보다 패킷 손실의 위험이 더욱 크기 때문에,...
- 09:322023년 6월 8일 (목) 09:32 차이 역사 +7,700 새글 HTTP 응답 코드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1XX == 정보 전달: 요청을 받았고, 작업을 진행 중이라는 의미이다. HTTP/1.0 이후 정의되지 않았다. 서버들도 클라이언트에게 이 코드를 보내지는 않는다. 단 101의 경우 WebSocket등에서 쓰인다. * 1xx: Informational - Request received, continuing process * 100 Continue * 101 Switching Protocols * 102 Processing == 2XX == 성공: 이 작업을 성공적으로 받았고, 이해했으며,... 최신
- 09:322023년 6월 8일 (목) 09:32 차이 역사 +7,704 새글 P2P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P2P'''(peer-to-peer network) 혹은 '''동등 계층간 통신망'''(同等階層間通信網)은 비교적 소수의 서버에 집중하기보다는 망구성에 참여하는 기계들의 계산과 대역폭 성능에 의존하여 구성되는 통신망이다. P2P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노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이용된다. 오디오나 비디오, 데이터 등 임의의 디지... 최신
- 09:312023년 6월 8일 (목) 09:31 차이 역사 +36 새글 DNS Domain name system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12023년 6월 8일 (목) 09:31 차이 역사 +4,262 새글 Domain name system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호스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디렉터리 서비스를 DNS [domain name system]이라 호칭한다. DNS 는 서버들이 계층구조로 구현된 분산 데이터베이스이고, 호스트가 분산 데이터베이스로 질의하도록 허락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DNS 서버는 주로 BIND를 수행하는 유닉스 컴퓨터 이다. DNS 프로토콜은 UDP 상에... 최신
- 09:302023년 6월 8일 (목) 09:30 차이 역사 +40 새글 FTP File transfer protocol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9:302023년 6월 8일 (목) 09:30 차이 역사 +1,101 새글 File transfer protocol 새 문서: 분류: 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들이 파일을 교환하기 위해 1971년에 최초로 공개된 통신 규약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원활하게 교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파생형으로 FTP에 TLS 프로토콜이 적용된 FTPS가 있으며,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SSH 프로토콜... 최신
- 09:282023년 6월 8일 (목) 09:28 차이 역사 +264 새글 Emphasis 새 문서: 분류: Style: Lessions in Clarity and Grace == 개요 == 문장을 어떻게 끝내는지도 글쓰기에서 매우 중요하다. 문장에서 시작과 끝, 그리고 강조의 중심을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여기서 설명한다. == Complexity ==
- 07:192023년 6월 8일 (목) 07:19 차이 역사 +30 새글 Para virtualization 반가상화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전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