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편집 수: 2,132건. 계정 생성일: 2023년 2월 3일 (금).
기여 검색펼치기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3년 3월 21일 (화)

  • 04:002023년 3월 21일 (화) 04:00 차이 역사 +129 새글 특수:Badtitle/NS500:Asdf 새 블로그 글을 만들었습니다. 최신
  • 03:352023년 3월 21일 (화) 03:35 차이 역사 +31 새글 축차 탐색 Linear search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3:352023년 3월 21일 (화) 03:35 차이 역사 +363 새글 Linear search 새 문서: 분류: 탐색 ==개요== 축차 탐색은 배열에 저장된 데이터를 앞에서부터 하나씩 차례로 검사하다가 원하는 부분이 발견되면 그 시점에서 탐색을 중지하는 간단한 탐색법이다. == 알고리즘== #배열의 처음부터 시작한다. #만약 원하는 것이 발견되면 멈추고 그 값을 리턴한다. 최신
  • 03:342023년 3월 21일 (화) 03:34 차이 역사 +1,471 새글 Bubble sort 새 문서: 분류: 정렬 == 개요 == 인접하는 두 항을 비교해서 뒷 항이 앞 항보다 작으면 두 항을 교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쉽게 생각하면, 우선 제일 큰거 맨 위로 올리고, 그다음 큰거 맨 위로 올리를 모든 항이 정렬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이다. == 예제 ==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거품정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span style="color:#0000FF">'''55 07'''</span> 78 12 42 초기값[파란색... 최신
  • 03:342023년 3월 21일 (화) 03:34 차이 역사 0 정렬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3:332023년 3월 21일 (화) 03:33 차이 역사 +607 새글 Insertion sort 새 문서: 분류: 정렬 프레임없음|가운데 == 개요 == 부분 데이터 <math>a_i ~ a_n </math> 이 주어진 경우 그중에서 최소항을 찾아서 그 값과 <math>a_i</math> 와 교화하는 과정을 처음 부터 끝가지 시행하는 방식을 직접 선택법이라 한다. == 알고리즘 == i 가 0~n-1 인 상황에서, # 대상 항 i 를 0 부터 n-2 까지 옮기며 다음을 반복한다. # 대상 항을 최소값의 초기값... 최신
  • 03:332023년 3월 21일 (화) 03:33 차이 역사 +2,053 새글 Shaker sort 새 문서: 분류: 정렬 섬네일|가운데 == 개요 == 버블 소트 에서 부분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도 무조건 비교를 반복함으로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데이터의 원쪽부터 검사를 시작해서 마지막으로 교환한 것이 i 와 i + 1 의 위치라면 i + 1 ~ n - 1 까지는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는 것임으로 다음부터는 검사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마지... 최신
  • 03:322023년 3월 21일 (화) 03:32 차이 역사 +1,066 새글 Selection sort 새 문서: 분류: 정렬 섬네일|가운데 == 개요 == 선택 정렬은 현재 소팅되어 있다 가정된 배열 에서 최소의 값을 집어 넣어서 정렬하는 방식이다. 좀더 풀어서 말하자면, 가장 작은 수를 select 한 다음 현재 배열에 넣는 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어찌보면, 인간이 사용하는 정렬 방식과도 닮았다. 우선 제일 작거나 큰거를 선택해서 그것을 먼저 정렬하... 최신
  • 03:322023년 3월 21일 (화) 03:32 차이 역사 +1,660 새글 Merge sort 새 문서: 분류:정렬 섬네일|가운데 == 개요 == 폰 노인만에 의해서 개발된 Merge Sort 는 안정적으로 nlogn 만에 배열을 정렬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본 원리는 배열을 일단 최소 단위까지 쪼갠후 최소 단위부터 조금씩 맏추면서 올라가는 방식이다.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좋은 예시이다. 성능은 퀵 정렬보다 전반적으로 뒤떨어지고, 데이터 크기만한 메... 최신
  • 03:322023년 3월 21일 (화) 03:32 차이 역사 +922 새글 정렬 새 문서: 분류: 정렬 == 개요 == 정렬 (sort)는 데이터를 특정 규칙에 따라 재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1, 5, 11 처럼 작은 수부터 나열한 것을 오름차순, 반대를 내림 차순이라 한다. 정렬에 필요한 시간은 주로 비교 횟수와 교환 횟수에 의해 정해진다. 이 횟수는 수열 데이터가 어떻게 나열되어 있는지와 기기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이 횟수는 방식에 따라서 엄청난 차이가 존...
  • 03:312023년 3월 21일 (화) 03:31 차이 역사 +317 새글 암호화 해시 함수 새 문서: 분류: 네트워크 보안 분류: 탐색 == 암호화 해시 함수 == 암호화 해시 함수는 해시 함수에 의해 보호되는 어떤 메시지를 대신할 다른 메시지를 찾아내는 일이 실행 불가능한 정도의 계산을 요구해야 한다. == 종류 == MD5<br> SHA-1<br> 최신
  • 03:312023년 3월 21일 (화) 03:31 차이 역사 +1,948 새글 해시 함수 새 문서: 분류: 네트워크 보안 분류: 탐색 == 개요 ==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를 말한다. 이러한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나온 고정된 길이의 값을 해시값이라고 한다. 이 값은 또한 해시 코드, 해시섬(sum), 체크섬[* 의미는 살짝 다르지만 해시가 체크섬과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기는... 최신
  • 03:302023년 3월 21일 (화) 03:30 차이 역사 +1,434 새글 Binary search 새 문서: 분류: 탐색 ==개요 == 이진 검색 알고리즘(binary search algorithm)은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의 위치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처음 중간의 값을 임의의 값으로 선택하여, 그 값과 찾고자 하는 값의 크고 작음을 비교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처음 선택한 중앙값이 만약 찾는 값보다 크면 그 값은 새로운 최댓값이 되며, 작으면 그 값은 새로운 최솟값... 최신
  • 03:302023년 3월 21일 (화) 03:30 차이 역사 +641 새글 탐색 새 문서: 분류: 알고리즘 ==개요== 탐색이란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찾아내는 작업을 말한다, == 축차 탐색 == 데이터를 하나하나 차례로 비교하여 검사하는 탐색법이다. 축차 탐색 == 이분 탐색 == 미리 정렬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목적 데이터를 탐색하는 경우에 유효한 방법이다. 이분 탐색 == 해시법 == 해시 테이블을 이용한 방식이다. 해시의 키가...
  • 03:302023년 3월 21일 (화) 03:30 차이 역사 +24 새글 Recursive 재귀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3:302023년 3월 21일 (화) 03:30 차이 역사 +38 재귀 편집 요약 없음
  • 03:282023년 3월 21일 (화) 03:28 차이 역사 +2,679 새글 재귀 새 문서: 분류:알고리즘 == 개요 == 재귀적 구조란 자기자신을 정의할 때 자신보다 1차 낮은 부분집합을 사용하고, 또한 그 부분집합은 그보다 차수가 낮은 부분집합을 사용해서 정의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구조다. 이러한 구조를 일반적으로 재귀라한다. 재귀를 사용하면 복잡한 알고리즘을 명료하게 기술할 수 있기 때문에 현대 프로그래밍 기법에서 중요한 제어구조의...
  • 03:282023년 3월 21일 (화) 03:28 차이 역사 +24 새글 분류:정렬 새 문서: 분류: 알고리즘 최신
  • 03:272023년 3월 21일 (화) 03:27 차이 역사 +1,843 새글 Quick sort 새 문서: 분류:정렬 섬네일|가운데 == 개요 == 퀵 소트란 나열된 수에서 적당한 값(축)을 기준으로 이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왼쪽에, 크거나 같은 값을 오른쪽에 오도록 재배열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왼쪽, 오른쪽 부분수열에 대해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퀵정렬이 완성된다. 합병 정렬은 부분수열이 항상 같은 크기로 선정되지만, 퀵 소트는 그... 최신
  • 03:272023년 3월 21일 (화) 03:27 차이 역사 +24 새글 Stack 스택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3:272023년 3월 21일 (화) 03:27 차이 역사 +18 스택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3:262023년 3월 21일 (화) 03:26 차이 역사 +4,306 새글 스택 새 문서: 분류: 자료 구조 == 개요 == '''스택'''은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나열 구조이다. 그 접근 방법은 언제나 목록의 끝에서만 일어난다. 끝먼저내기 목록(Pushdown list)이라고도 한다. 스택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구조(LIFO - Last In First Out)으로 되어 있다. 자료를 넣는 것을 '밀어넣는다' 하여 '''푸쉬'''(push)라고 하고 반대로 넣어둔 자료를 꺼...
  • 03:262023년 3월 21일 (화) 03:26 차이 역사 +564 새글 Last in last out 새 문서: 분류: 자료 구조 == 개요 == 후입 선출(後入先出) 또는 LIFO(last in, first out)는 컴퓨터 과학과 대기 이론에서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 구조에 저장되어 있는 항목들이 처리되는 것을 말한다. LIFO 구조화 선형 목록에서, LIFO 요소는 맨 위의 항목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LIFO 구조는 작은 문을 가진 좁고 둘러싸인 승강기로 예를 들 수 있다. 승강기가 도착지에 다다... 최신
  • 03:262023년 3월 21일 (화) 03:26 차이 역사 +36 새글 FIFO First in first out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3:262023년 3월 21일 (화) 03:26 차이 역사 +523 새글 First in first out 새 문서: 분류: 자료 구조 == 개요 == 선입 선출(先入先出, first in, first out, 줄여서 FIFO)은 시간과 우선 순위와 관련된 데이터를 정리하고 이용하는 방식을 줄여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현은 선입선처리 행위에 따라 순서대로 처리함으로써 기술을 처리하거나 수요 충돌을 관리하는 대기의 원칙을 말한다. 다시 말해, 먼저 온 것은 먼저 처리되고, 처리가 끝날 때까지 다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2023년 3월 20일 (월)

2023년 3월 16일 (목)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