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Text transfer protocol

Ahn9807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3월 24일 (금) 11:56 판 (새 문서: 분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개요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yper'''T'''ex'''T''' '''P'''rotocol[* '''H'''yper'''T'''ex'''T''' '''P'''rotocol로 읽는 사람들이 가끔 있는데, 그렇다고 틀린 것은 아니다.]의 약자.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즉, HTTP는 서버클라이언트의 사이에서 어떻게 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개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yperTexT Protocol[* HyperTexT Protocol로 읽는 사람들이 가끔 있는데, 그렇다고 틀린 것은 아니다.]의 약자.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즉, HTTP는 서버클라이언트의 사이에서 어떻게 메시지를 교환할 지를 정해놓은 규칙인 것이다. 80번 포트를 사용하며 HTTP의 구조는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시를 들자면 '클라이언트가 웹 페이지에서 링크가 걸려있는 텍스트를 클릭(요청)하면 링크를 타고 새로운 페이지로 넘어간다(응답)'. 따라서 우리가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인터넷 주소 맨 앞에 들어가는 http://는 바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정보를 교환하겠다는 표시인 것이다.HTT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지 않으므로, HTTP를 비상태 프로토콜 (stateless Protocol)이라고 한다.

역사

1996년에 첫 상용화버전인 HTTP/1.0가 발표되었고, 1999년에 HTTP/1.1, 그리고 2015년 HTTP/2를 공식으로 발표하였다. 현재 HTTP/1.1을 대부분 사용중이지만 Google계열의 사이트(Google, youtube 등)는 HTTP/2와 HTTP/1.1을 동시에 지원하고 있고, 그 외 해외의 대부분의 Major사이트들(facebook, twitter, yahoo 등)은 적어도 SPDY를 사용하고 있고 점차적으로 HTTP/2로 바꾸는 추세다. 하지만 국내의 Major사이트들(Naver, Daum)은 아직까지도 HTTP/1.1만을 지원하고 있다.

비지속 연결과 지속 연결

비지속 연결 HTTP

  1. HTTP 클라이언트는 80번 포트번호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한다.
  2. HTTP 클라이언트는 1단계에서 설정된 TCP 연결 소켓을 통해 서버로 HTTP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3. HTTP 서버는 1단계에서 설정된 연결 소켓을 통해 요청 메시지를 받는다. 요청된 객체를 추출하여 응답 메시지에 그 객체를 캡슐화 한다. 그리고 메시지를 소켓을 통해 전송한다.
  4. HTT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소켓 종료 요청을 보낸다.
  5. HTTP 클라이언트가 응답 매시지를 받으면 TCP 연결이 중단된다. 클라이언트는 HTML파일과 요청된 객체를 끄내어 정보를 추출한다.
  6. 클라이언트는 객체의 링크를 클릭하여 윗 단계를 반복한다.

즉 비지속 연결에서는 TCP연결이 다른 객체를 위해 유지되지 않는다. 각 TCP 는 하나의 객체당 하나씩 생성된다. 만약 11개의 객체를 (11개의 png 파일과 같이)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면 11개의 TCP 연결이 생성된다.

단점

  1. 각 요청 객체에 대한 새로운 연결이 설정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서버에 심한 부하를 준다.
  2. 각 객체는 2RTT를 요구한다. TCP 연결에 1, 객체를 요청하고 받는데 1

지속 연결

HTTP1.1 지속 연결에서는 서버는 TCP연결을 그대로 유지한다. 같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이후 요청과 응답은 같은 연결을 통해 보내진다. 특히 전체 웹 패이지를 하나의 지속 TCP 연결을 통해 보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임아웃 시간이 지나면 연결을 닫는다. [RFC 7540] 참조

매시지 포맷

HTTP Fromat.png

요청 메시지

SP: 스페이스, CR: 캐리지 리턴, LF: 라인 피드

  1. 요청 라인: GET/POS/HEAD... (SP) URL (SP) Version of HTTP
  2. 헤더 라인: 호스트의 브라우저명, 요구사항등등
  3. 개체 몸체: GET 방식에서는 비어있고, 주로 POST 방식에서 사용된다.

예시

다음은 HTTP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패킷을 와이어샤크로 분석한 내용이다.

HTTP 패킷 분석.png
  1. GET으로 단순히 정보만을 요청하고 있으며 요청한 URL 을 나타낸다. HTTP1.1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 호스트는 gongdol.ml
  3.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 정보
  4. 브라우저가 해석가능한 정보 처리 방식
  5. 브라우저가 원하는 언어
  6. 브라우저가 원하는 인코딩 정보
  7. 마지막으로 정보를 받은 URL 위치
  8. 지속 연결 / 비지속 연결 종류
  9. 쿠키 정보

방식의 종류

  • GE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URL에 해당하는 자료의 전송을 요청한다.
  • HEAD : GET 요청으로 반환될 데이터 중 헤더 부분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요청한다.
  • POS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는 자료를 보낸다. 예를 들어, 게시판에 글을 쓸 때 클라이언트의 문서가 서버로 전송되어야 한다.
  • PU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지정한 URL 에 지정한 데이터를 저장할 것을 요청한다.
  • DELETE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지정한 URL 의 정보를 제거할 것을 요청한다.
  • TRACE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송신한 요청의 내용을 반환해 줄 것을 요청한다.
  • CONNECT : 클라이언트가 특정 종류의 프록시 서버에게 연결을 요청한다.
  • OPTIONS : 해당 URL 에서 지원하는 요청 메세지의 목록을 요청한다.

응답 메시지

  1. 상태 라인: 버전 빌드, HTTP/응답코드, 해당 상태 매시지
  2. 헤더 라인:
  • Connection 클라이언트에게 메시지를 보낸 후 TCP 연결을 닫을 것인가.
  • Date: HTTP 응답이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보낸 날짜와 시간.
  • Server: HTTP 데몬 정보
  • Last-Modified: 객체가 마지막으로 새성되거나 수정된 시간. 객체를 캐싱하는데 상요된다.
  • Content-Length: 객체의 바이트 수
  • Content-Type: 개체 몸체 내부의 객체가 어떤 타입인가?

쿠키

쿠키
  1. HTTP 응답 메시지 쿠키 헤더 라인
  2. HTTP 요청 매시지 쿠키 헤더 라인
  3.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사용자 종단 시스템과 관리를 지속시키는 쿠키 파일
  4. 웹 사이트의 백엔드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쿠키를 클라인어트에게 알려주고, 클라이언트는 요청 메시지에 쿠키 번호를 첨가 함으로써, 서버가 과거의 상태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웹 캐싱

웹 캐시[Web Cache]는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라고도 한다. 프록시 서버 참고

보안

TLS를 통한 보안이 적용된 버전은 HTTPS 참고.

HTTP/응답 코드

HTTP/응답 코드 참조. [고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