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편집 수: 2,137건. 계정 생성일: 2023년 2월 3일 (금).
기여 검색펼치기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3년 2월 11일 (토)

  • 02:112023년 2월 11일 (토) 02:11 차이 역사 +663 새글 커널 모듈 새 문서: 분류: 디바이스 == 개요 == 모듈이란 커널에서 동적으로 커널의 기능을 구현하여 다시 컴파일 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일례로 리눅스 커널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lib/modules/kernel_version/ 에 존재하여 동적으로 로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듈을 작성하는 것은 따라서 일반적인 Userprograme의 작성과는 다르게 커널이 제... 최신
  • 02:102023년 2월 11일 (토) 02:10 차이 역사 +804 새글 Character device 새 문서: 분류: 파일 시스템 == 개요 == 캐릭터 디바이스란, 장치 장동의 최소 단위가 바이트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서 키보드나 마우스의 경우, 블락단위로 장치에 정보가 오고가는 것이 아니라 장치에 대한 응답이 바이트 단위로 작성되게 된다. 이러한 장치들을 캐릭터 디바이스의 범주에서 묶어서 처리한다. 캐릭터 디바이스는 주로 Storage장치가 아닌...
  • 02:102023년 2월 11일 (토) 02:10 차이 역사 0 Block device 편집 요약 없음
  • 02:102023년 2월 11일 (토) 02:10 차이 역사 +640 새글 Block device 새 문서: 분류: 파일 시스템 분류: 스토리지 == 개요 == Block Device란 파일 시스템에서 블럭 단위로 정보가 오고가는 시스템을 말한다. 옜날에는 한 블럭의 단위가 보통 512바이트 였으나, 요즘 세대에서는 한 페이지의 크기와 같은 4096바이트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블럭 디바이스는 주로 Storage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buffer stream과 같은 장치에 의해서 캐...
  • 02:092023년 2월 11일 (토) 02:09 차이 역사 +1,590 새글 Ramdisk 새 문서: 분류: 파일 시스템 == 개요 == RamDisk는 컴퓨터 시스템의 Ram을 주기억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Emulation하는 것을 말한다. Ram의 본 목적은 프로그램처리에 필요한 Code및 Data섹션의 저장에 있다. 그러나 이 램의 일부분을 지정하여 FileSystem의 root로 만들 수 있는데 이에 관련된 작동이 램디스크이다. 램디스크는 일반 스토리지에 비하여 초당 처리 시간이 비약적으... 최신
  • 02:092023년 2월 11일 (토) 02:09 차이 역사 +2,646 새글 RAM 새 문서: 분류: 메모리 == 개요 == 컴퓨터에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영어: Random Access Memory, Rapid Access Memory, 임의 접근 기억 장치) 램(RAM)은 임의의 영역에 접근하여 읽고 쓰기가 가능한 주기억 장치다. 반도체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다. RAM은 어느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든지 접근(읽기 및 쓰기)하는 데 동일한 시간이 걸리는 메모리이기에 ‘랜덤(Random, 무작위)... 최신
  • 02:082023년 2월 11일 (토) 02:08 차이 역사 +1 Chroot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2:082023년 2월 11일 (토) 02:08 차이 역사 −1 Chroot 리눅스 에서의 chroot
  • 02:082023년 2월 11일 (토) 02:08 차이 역사 +2,119 새글 Chroot 새 문서: 분류: 리눅스 커널 분류: 가상화 분류: 파일시스템 == 개요 == chroot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root directory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어떠한 한 프로세스는 그 프로세스의 환경 변수에 루트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 프로세스가 찾아가는 모든 경로는 그 루트디렉토리에서 시작하게 되는데, chroot은 이 경로를 바꿀 수 있도록 해준다. chroot new_root...
  • 02:072023년 2월 11일 (토) 02:07 차이 역사 +3,445 새글 Qemu 새 문서: 분류: 가상화 분류: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요 == Qemu는 오픈소스기반의 Hardware Virtualization 가상머신이다. Qemu는 가상머신을 구현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며, 대표적인 ARM, X86과 같은 시스템을 포함하여 대다수의 머신을 가상화 할 수 있다. * Multiple host, Multiple target을 지원한다. * Full Virtualization, Process Virtualization을 지원한다. * KVM과 함꼐 사용하여...
  • 02:072023년 2월 11일 (토) 02:07 차이 역사 +46 새글 KVM Kernel based virtual machine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2:072023년 2월 11일 (토) 02:07 차이 역사 +1,701 새글 Kernel based virtual machine 새 문서: 분류: 가상화 == 개요 == Kernel-based Virtual Machine (KVM)은 리눅스 커널에 Hypervisor의 기능을 더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변화는 하드웨어 가상화 기법의 발달과 더불에서 자연스럽게 추가된 기능이다. 하드웨어 가상화 기법은 Gutest operating mode와 그에 따른 가상화된 Priviledge 명령어를 CPU단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linux커널에서 이용하여 쉽게 Hypervisor로 linux 커널을...
  • 02:052023년 2월 11일 (토) 02:05 차이 역사 +326 새글 Write through 새 문서: 분류: CPU == 개요 == CPU가 I/O가 발생하여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할 경우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하위, 상위 캐쉬에 모두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캐시와 메모리에 업데이트를 모두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 참고 == Write back 최신
  • 02:042023년 2월 11일 (토) 02:04 차이 역사 −16 Write back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2:042023년 2월 11일 (토) 02:04 차이 역사 +612 새글 Write back 새 문서: 분류: 운영체제 기술 == 개요 == CPU 데이터를 사용할 때 캐시에 일단 저장하고 하위 캐쉬에는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이때 상위 캐쉬에는 이 데이터가 지금 하위 캐쉬에 있는 값과 다르다는 dirtybit가 체크되게 된다. 나중에 캐시에 있는 정보를 flush할때, dirtybit가 체크되어 있으면 하위 캐쉬에 데이터를 옮기고 아니면 그냥 drop시킨다.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 02:032023년 2월 11일 (토) 02:03 차이 역사 +23 새글 분류:제어흐름 새 문서: 분류:운영체제 최신
  • 02:032023년 2월 11일 (토) 02:03 차이 역사 +1,627 시스템 콜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2:022023년 2월 11일 (토) 02:02 차이 역사 +1,511 새글 마이크로 커널 새 문서: 분류: 운영체제 기술 == 개요 == OS Kernel을 매우 다른 단위로 쪼개서, 서로 다른 영역에서 작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커널은 스케쥴링이나 IPC와 같은 최소한의 기능만을 구현하고 User Application, Memory module, Process module, File module과 같은 Kernel functionality를 절단 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드웨어가 여러 개의 링과 CPU 모드를 제공한다면 마이크로커널은 최고 권한 수준... 최신
  • 02:022023년 2월 11일 (토) 02:02 차이 역사 +4,479 새글 모놀리틱 커널 새 문서: 분류: 운영체제 == 개요 == 모든 OS의 기능은 하나의 kernel에 모여 있다. 장점은 퍼포먼스가 좋다는 것이지만, 단점은 조그만한 실수도 커널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지와 관리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예시로는 Windows, BSD, Linux와 같은 것이 있다. == 기능 == 모놀리식 커널 방식은 보다 근대적인 설계 방법으로 여겨지는 마이크로 커널 방식의... 최신
  • 02:012023년 2월 11일 (토) 02:01 차이 역사 +2,208 새글 반가상화 새 문서: 분류: 가상화 == 개요 == 반가상화는 Full Virtualization과 다르게, 약간 수정이 가해진 GuestOS의 도움을 받아서 가상화를 진행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에서는 하드웨어 장치나 MMU서비스와 같은 밑단의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 하지않고, Hypercall이라는 Hypervisor의 함수를 부르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가상화를 시킨다. 즉 어떤 장치에 대한 요청이 있을때 이를 Hypercal...
  • 02:012023년 2월 11일 (토) 02:01 차이 역사 +1,558 새글 Shadow paging 새 문서: 분류: 가상화 == 개요 == 가상화 환경에서 메모리 주소 쳬게에서는 게스트 운영체제가 생각하는 물리 주소를 실제 머신 주소로 변환하여야 한다. 이는 하이퍼바이저의 섀도 페이지 테이블을 이용하게 된다. 운영체제의 페이지 테이블이 가상 주소에서 물리 주소로 가는 변환을 저장한다면, 섀도 페이징은 가상 주소에서 머신 주소로 가는 정보를 저장한다. 하이...
  • 02:012023년 2월 11일 (토) 02:01 차이 역사 +9,726 새글 Xen and the Art of Virtualization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논문 SOSP 2003 https://www.cl.cam.ac.uk/research/srg/netos/papers/2003-xensosp.pdf == 개요 == XEN의 원저자가 작성한 최초의 논문으로, 어떻게 XEN을 구현하였는지 저술한 논문이다. == Introduction == VM이 가져야 할 특성들 # Isolation # Support different operating systems # Overhead must be small XEN은 Guest Operating System에 수정을 가하여 위와 같은 성질을 모두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 02:002023년 2월 11일 (토) 02:00 차이 역사 −6 Strace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1:592023년 2월 11일 (토) 01:59 차이 역사 +1,713 새글 Strace 새 문서: 분류: 운영체제 디버깅 == 개요 == Strace는 리눅스에서 프로세스의 시스템콜과 시그널을 추적하기 위한 디버깅 툴이다. 한 프로세스가 어떤 시스템콜을 사용하는지, 어떤 부분에서 병목현상이 일어나는지 아니면 어떠한 오류로 프로세스가 죽는지 탐지하고 디버깅할 수 있다. == 옵션 == -s: 출력시킬 최대 길이를 설정한다. (하나의 시스템콜의 인자가 너무 길경...
  • 01:592023년 2월 11일 (토) 01:59 차이 역사 +1,813 새글 시스템 콜 새 문서: 분류: 제어흐름 == 개요 == 시스템콜은 Userprocess가 Kernel process에서만 다룰 수 있는 민감한 Resource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이다. Userporcess는 프로그램 작동중 파일의 읽기와 쓰기 같은 커널 영역에서만 처리되어야 하는 작업에 당면하면 시스템콜을 부르게 된다. 시스템콜은 그에 따른 시스템콜을 호출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콜에대한 Abstraction은 라이브러리의 형태...
  • 01:582023년 2월 11일 (토) 01:58 차이 역사 0 분류:운영체제 사례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1:582023년 2월 11일 (토) 01:58 차이 역사 +23 새글 분류:운영체제 사례 새 문서: 분륲:운영체제
  • 01:572023년 2월 11일 (토) 01:57 차이 역사 0 잔글 Virtio Ahn9807님이 가상화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Virtio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01:562023년 2월 11일 (토) 01:56 차이 역사 −5 Virtio 편집 요약 없음
  • 01:562023년 2월 11일 (토) 01:56 차이 역사 +2,214 새글 Virtio 새 문서: 분류: Virtualization 섬네일|가운데| 400픽셀 == 개요 == Virtio는 반가상화에서 디바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Qemu와 같은 대중적인 전가상화가상 머신에서도 Virtio와 같은 하드웨어 반가상화 기법을 지원한다. 이는 Virtio가 직접 커널을 수정하는 것이 아닌,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쉽게 Full Virtualizatio에서도...
  • 01:562023년 2월 11일 (토) 01:56 차이 역사 +4 Asmlinkage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1:552023년 2월 11일 (토) 01:55 차이 역사 +720 새글 Asmlinkage 새 문서: 분류: 리눅스 커널 <include/linux/linkage.h> == 개요 == asmlinkage는 어셈블리 코드에서 직접 호출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x86은 함수 호출시 인자를 스택혹은 레지스터를 통해서 전달 할 수 있는데, 이는 보통 컴파일러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어셈블러코드에서 호출되는 함수는 어셈블러가 두가지중 어떤 형식을 사용할지 모른다는 문제가 있...
  • 01:532023년 2월 11일 (토) 01:53 차이 역사 −9 ACPI 편집 요약 없음
  • 01:522023년 2월 11일 (토) 01:52 차이 역사 −9 APIC 편집 요약 없음
  • 01:522023년 2월 11일 (토) 01:52 차이 역사 +1,425 새글 APIC 새 문서: 분류: 주변장치 == 개요 == APIC은 Interrupt Controller중의 하나로, 기존의 PIC보다 훨씬 발전된 방식의 Interrupt 처리 루틴이다. APIC은 Local LAPIC과 IOAPIC으로 분리되어 구현되어 있다. LAPIC은 각각의 프로세서에 builtin으로 박혀있으며, IOAPIC은 시스템의 버스에 박혀있다. == LAPIC == LAPIC은 각각의 코어마다 하나씩 할당되어 있다. 이 LAPCI은 서로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서 IP...
  • 01:522023년 2월 11일 (토) 01:52 차이 역사 +22 새글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ACPI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1:512023년 2월 11일 (토) 01:51 차이 역사 +3,946 새글 ACPI 새 문서: 분류: 주변장치 == 개요 == ACPI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는 Power Management를 하기 위한 주변장치의 일종이다. ACPI는 운영체제가 어느정도의 파워가 지금 공급되고 있는지, CPU Fan speed, thermal zone, battery level과 같은 정보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 또한 ACPI는 SMP, NUMA와 같은 Multiprocessing 정보또한 OS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는 MP floating table에도 존재하지만, Modern...
  • 01:502023년 2월 11일 (토) 01:50 차이 역사 +38 새글 NDP Near data processing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1:502023년 2월 11일 (토) 01:50 차이 역사 +2,436 새글 Near data processing 새 문서: 분류: 스토리지 == 개요 == 기존 SSD에서의 정보처리의 stack의 CPU, GPU, RAM, and storage사이에서 많은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져야 했다. 그러나 smart ssd는 이러한 데이터 교환의 일정 부분을 ssd내의 CPU에서 처리하게 함으로써, host cpu에서 오는 bottleneck과 host cpu의 연산을 offloading함으로써 전력 소비 그리고 host cpu를 보다 더 다른 연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 최신
  • 01:492023년 2월 11일 (토) 01:49 차이 역사 +986 새글 MPEG-4 새 문서: 분류: 멀티미디어 네트워킹 == 개요 == MPEG-4(엠펙 포, ISO/IEC 14496)는 영상,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로 전송, 저장하기 위한 규격의 하나이다. MPEG-1, MPEG-2와 같이 시스템, 비주얼, 음향, 파일 포맷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MPEG-4라고 할 때에는 동영상 인코딩 방식을 기술하는 비주얼 부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규격을 관리하는 동화... 최신
  • 01:492023년 2월 11일 (토) 01:49 차이 역사 +1,359 새글 Redis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벤치마크 == 개요 == 구글에서 만든 key-value store 데이터 베이스인데, 여기에 파일 시스템을 벤치마크할 수 있는 db_bench가 있다. 시스템 벤치마크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에 여기에 정리해 둔다. LevelDB is a fast key-value storage library written at Google that provides an ordered mapping from string keys to string values. == 벤치 방법 == 모든 벤치마크는 page cache를 지우지 않... 최신
  • 01:482023년 2월 11일 (토) 01:48 차이 역사 +14 잔글 LeapIO: Efficient and Portable Virtual NVMe Storage on ARM SoCs 편집 요약 없음
  • 01:482023년 2월 11일 (토) 01:48 차이 역사 +6,273 새글 LeapIO: Efficient and Portable Virtual NVMe Storage on ARM SoCs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논문 == 개요 == 증가하는 클라우드 storage스택은 x86시스템 위에서 엄청난 전력과 computing cost를 소모하고 있다. LeapIO는 ARM코어를 적절히 이용하여 x86과 ARM 코어가 Mmap영역을 이용하도록 하여 bare metal과 비교하여도 손색없을 만큼 빠른 스토리지 스택을 구축하는데 성공하였다. 증가하는 스토리지 클라우드 시스템에 맞추어서, 서버 제공자들은 고객...

2023년 2월 5일 (일)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