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iwik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2월 13일 (월) 02:1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Long mode 문서를 롱 모드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 2023년 2월 13일 (월) 02:1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덮어쓰기를 통해 롱 모드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Long mode"에서 문서를 이동하기 위해 삭제함)
- 2023년 2월 13일 (월) 02:1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Real mo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리얼 모드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3일 (월) 02:1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리얼 모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X86 아키텍쳐 분류: 부팅 == 개요 == 리얼 모드는 리얼 주소 모드 또는 호환 모드라고도 한다. 80286 이후의 x86 호환 CPU의 운영 방식이다. 리얼 모드는 20비트 세그먼트 메모리 주소 공간이 특징을 결정한다. (최대 1 메가바이트의 메모리가 번지에 기록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함) 80286 계열 이후의 모든 x86 CPU들은 리얼 모드에서 전원이 켜질 때 시작된다. 80186 계...)
- 2023년 2월 13일 (월) 02:0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Progra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프로그램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3일 (월) 02:0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프로그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프로그램 실행 == 개요 == 프로그램은 정적인 것으로 디스크에 존재한다. 프로세스는 현재 프로그램의 running instance를 말한다. 프로세스는 한 머신에 여러개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스는 스케쥴링의 대상이기도 하다.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더하여 추가적인 머신에서 돌리기 위한 정보또한 필요한다. 즉 프로그램은 static이고 프로세...)
- 2023년 2월 13일 (월) 02:0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Proces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프로세스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3일 (월) 02:0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Threa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스레드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3일 (월) 02:0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프로세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프로세스 == 개요 == 프로그램은 정적인 것으로 디스크에 존재한다. 프로세스는 현재 프로그램의 running instance를 말한다. 프로세스는 한 머신에 여러개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스는 스케쥴링의 대상이기도 하다.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더하여 추가적인 머신에서 돌리기 위한 정보또한 필요한다. 즉 프로그램은 static이고 프로세스는 dy...)
- 2023년 2월 13일 (월) 02:0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분류:스레드/프로세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운영체제)
- 2023년 2월 13일 (월) 02:06 Ahn9807 토론 기여님이 스레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스레드 프레임없음|가운데|700픽셀 == 개요 == 프로세스의 실행 단위이며, PCB로 작동하는 프로세스와는 달리 TCB로 작동한다. TCB에는 프로그램 카운터, 레지스터 정보, 스택, 스케줄링 정보등이 포함되어 있다. lightweight process라고 불리기도 한다. 스레드(thread)는 어떠한 프로그램 내에서, 특히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
- 2023년 2월 13일 (월) 02:0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Parallel computi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병렬 컴퓨팅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3일 (월) 02:0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병렬 컴퓨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시스템 최적화 분류: 동시성 프로그래밍 == 개요 == 병렬 컴퓨팅, Parallel computing이란 여러가지의 명령어를 동시에 병렬적으로 시행하는 최적화 기법을 말한다. GPU나 CPU의 multi-core와 같이 여러개의 instruction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에서 시행된다. 인공지능에서 병렬 컴퓨팅은 매우 중요한 기법으로서 사용된다. 인공지능이나 컴퓨터 그래픽...)
- 2023년 2월 13일 (월) 02:04 Ahn9807 토론 기여님이 AV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Advanced vector extensions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3일 (월) 02:04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분류:시스템 최적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컴퓨터 구조)
- 2023년 2월 13일 (월) 02:03 Ahn9807 토론 기여님이 Advanced vector extension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CPU 분류: x86 아키텍쳐 분류: 시스템 최적화 == 개요 == 고급 벡터 확장(Advanced Vector Extensions,약어:AVX)은 2008년 4월 춘계 인텔 개발자 포럼에서 발표된 x86 명령어 집합의 확장으로 SIMD명령어 집합중의 하나이다. SIMD 레지스터의 폭이 128비트에서 256비트로 확장돼서, 최대 2배까지 부동소수점 연산 처리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기존의 2 피연산자 구조에서...)
- 2023년 2월 13일 (월) 02:0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롱 모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Long mode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3일 (월) 02:0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Long mo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부팅 분류: x86 아키텍쳐 == 개요 == x86-64 컴퓨터 아키텍처에서 롱 모드(long mode)는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이 64비트 명령어와 레지스터에 접근할 수 있지만 32비트와 64비트 프로그램이 호환성 하위 모드에서 실행되는 상태를 가리킨다. 그러나 16비트 모드의 명령어는 일부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서 BIOS에 접근하는 등의 명령어는 보호 모드와 마찬가지...)
- 2023년 2월 13일 (월) 02:0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Heuristic searc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 개요 == 휴리스틱 탐색이란, 탐색과정에 있어서 일정한 정도의 추측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법은 Informed search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최고의 답을 찾니는 않지만 합당한 시간안에 최적의 답을 찾아가는 것을 보장한다. == 종류 == #Best-First search #A* #Hill Climbing #Simulated Annealing #Genetic Algorithms)
- 2023년 2월 13일 (월) 02:0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Heuristic search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Best-first search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2월 13일 (월) 01:5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Heuristic searc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 개요 == 노드 중에서 제일 그럴듯한 노드를 먼저 고르는 알고리즘이다. 이때 제일 그럴 듯한 노드를 구하는 방법은 Heuristic Function으로 주어지게 된다. # 생성된 노드의 집합에서 제일 적합한 노드를 고른다. # 선택된 노드를 확장시켜서 노드의 Successor을 만든다. # 생성된 Successor을 다시 생성된 노드의 집합에 넣는다. # 다시 1에서 반복. 휴리스틱 함...)
- 2023년 2월 13일 (월) 01:5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Greedy algorithm 문서를 탐욕 알고리즘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2월 13일 (월) 01:5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Greedy algorith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 개요 == 탐욕 알고리즘은 최적해를 구하는 데에 사용되는 근사적인 방법으로, 여러 경우 중 하나를 결정해야 할 때마다 그 순간에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해 나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최종적인 해답에 도달한다. 순간마다 하는 선택은 그 순간에 대해 지역적으로는 최적이지만, 그 선택들을 계속 수집하여 최종적(전역적)인 해답을 만들었...)
- 2023년 2월 12일 (일) 04:1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SV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Virtual instruction set computing: Secure Virtual Architecture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2일 (일) 04:13 Ahn9807 토론 기여님이 VIS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Virtual instruction set computing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2일 (일) 03:5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Secure Virtual Architecture: A Safe Execution Environment for Commodity Operating System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논문 2009 SOSP John Criswell, Andrew Lenharth, Dinakar Dhurijati, Vikram Adve == 개요 == == Motivation == 시스템 보안에 많은 진보가 있어왔지만, 운영체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새로운 취약점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메모리 관련 버그들, Buffer overruns, double free, format string error와 같은 에러들, Control flow integrity관련 에러들이 심각한 취약점 영향을 미치...)
- 2023년 2월 11일 (토) 09:4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분류:소프트웨어 기반 보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컴퓨터 보안)
- 2023년 2월 11일 (토) 09:4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Virtual instruction set computi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컴파일러 == 개요 == Virtual instruction set computing (VISC)는 ISA디자인시에, 프로세서가 사용할 ISA와 컴파일되는 ISA가 일치하지 않는 환경을 말한다. 컴파일러가 만드는 virtual ISA (vISA)는 프로세서가 사용할 ISA로 compile time, link time, install time, boot time, 혹은 Just-in-time 러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 실제 ISA로 변환 되게 된다. == Secure Virtual Architecture == Secure Virtual Arch...)
- 2023년 2월 11일 (토) 09:33 Ahn9807 토론 기여님이 Hardening Hypervisors with Ombr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시스템 논문 ATC 2022 == 개요 ==)
- 2023년 2월 11일 (토) 09:1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분류:취약점 공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컴퓨터 보안)
- 2023년 2월 11일 (토) 09:1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Row hamm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취약점 공격 == 개요 == Row hammer 공격은 DRAM에서 인접한 메모리 셀이 전하적으로 다른 셀에 영향을 주어서, 원래는 읽을 수 없는 곳의 정보가 영향을 준 다른 셀에 의하여 읽히거나, 혹은 내용이 바뀌는 Security Attack기법이다. 이러한 영향은 매우 집적도가 높아지는 현대 DRAM구조에서 정교한 Memory access pattern으로 인하여 같은 메모리 Row를 연속적으로 접근...)
- 2023년 2월 11일 (토) 03:12 Ahn9807 토론 기여님이 A* algorithm 문서를 A* 알고리즘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2월 11일 (토) 03:11 Ahn9807 토론 기여님이 A* algorith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Path Finding 분류: 탐색 300px|프레임없음|가운데 == 개요 == '''A* 알고리즘'''은 주어진 출발 꼭짓점에서부터 목표 꼭짓점까지 가는 최단 경로를 찾아내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이 알고리즘은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유사하나 차이점은 각 꼭짓점 <math>x</math>에 대해 그 꼭짓점을 통과하는 최상의 경로를 추정하는 순위값인 "휴리스틱 추...)
- 2023년 2월 11일 (토) 03:11 Ahn9807 토론 기여님이 Simulated anneali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담금질 기법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1일 (토) 03:1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Genetic algorith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유전 알고리즘)
- 2023년 2월 11일 (토) 03:10 Ahn9807 토론 기여님이 Beam searc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빔 서치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2월 11일 (토) 03:0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Local searc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 개요 == Local search란 Heuristic Search를 사용하여 탐색하는 방법중 하나를 말한다. 지역 탐색은 여러개의 답이 될 수 있는 후보중에서 적절한 시간안에 구할 수 있는 최적의 해를 구하고자 한다. 지역 탐색은 현재의 상태를 바탕으로 조금씩 수정해 나가면서 최적의 해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Local search 알고리즘은 답을 찾기 위한 속도는 신경쓰지는 않...)
- 2023년 2월 11일 (토) 03:09 Ahn9807 토론 기여님이 Hill climbi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Path Finding 분류: 탐색 == 개요 == Hill Climbing은 현재 상태를 더 좋은 상태가 발견되면 그 지점으로 조금씩 움직이는 방식으로 현재의 해보다 더 좋은 최적의 해를 찾아서 조금씩 움직이는 알고리즘을 말한다. 현재의 상태만을 저장한채, 바로 다음 단계의 예측만을 바탕으로 정답을 향해서 나아간다. 여러개의 변종이 있으며 현재의 상황보다 조금이라도 좋...)
- 2023년 2월 11일 (토) 03:0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담금질 기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 개요 == '''담금질 기법'''은 전역 최적화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확률적 메타 알고리즘이다. 이 기법은 광대한 탐색 공간 안에서, 주어진 함수의 전역 최적해에 대한 좋은 근사를 준다. 커크패트릭, 젤라트, 베키가 1983년에 고안했다. 보통 영어를 그냥 읽어서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이라고 부른다. 담금질 기법이라는 말은 금속 공학...)
- 2023년 2월 11일 (토) 03:08 Ahn9807 토론 기여님이 빔 서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 개요 == 빔 서치는 Best-First Search에서 기억 노드의 수를 제한하는 방법이다. Best-First Search는 최적의 해를 찾아가지만, 만약 다음 노드로 가는 해가 많이 존재한다면 그 해를 다 구해서 비교하고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약된 기억공간을 통해서 어느정도는 합리적인 답을 최대한 빠르게 탐색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 2023년 2월 11일 (토) 03:0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유전 알고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 개요 == 유전 알고리즘은 자연계의 생물 유전학에 기본 이론을 두며, 병렬적이고 전역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서, 다윈의 적자생존 이론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유전 알고리즘은 풀고자 하는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들을 정해진 형태의 자료구조로 표현한 다음, 이들을 점차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점점 더 좋은 해들을 만들어 낸다. 여기에...)
- 2023년 2월 11일 (토) 03:0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Minimax 알고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 개요 == Minimax 알고리즘은 상대방의 해는 최소화 하면서 나의 해는 최대화 하는 것을 말한다. 게임에서, 상대방은 항상 상대방이 내릴 수 있는 최선의 결과를 도출할 것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내가 다음에 Greedy하게 어떠한 행위를 하더라도, 상대방의 응수로 인하여 더 큰 손실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턴에서 나의 손해를 조금 감수하더...)
- 2023년 2월 11일 (토) 03:07 Ahn9807 토론 기여님이 Alpha-beta pruning 문서를 알파-베타 가지치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2월 11일 (토) 03:06 Ahn9807 토론 기여님이 Alpha-beta pruni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 개요 == 알파-베타 가지치기(Alpha–beta pruning)는 탐색 트리에서 최소극대화(미니맥스) 알고리즘을 적용할 때 평가(evaluate)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적대탐색 알고리즘이라고도 하며, 기계가 플레이하는 2인용 게임(틱택토, 체스, 바둑)에 주로 사용된다. 이 알고리즘은 이전에 평가한 노드보다 현재 평가하는 노드가...)
- 2023년 2월 11일 (토) 03:06 Ahn9807 토론 기여님이 Eventual consistenc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데이터베이스 == 개요 == Eventual Consistency란,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업데이트가 없으면 분산된 데이터 베이스 환경에서 결국 최적적으로 마지막 업데이트된 쿼리가 나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즉 데이터 베이스의 노드들이 서로 동기화 하여 결국에는 모두 동기화가 완료되기 때문에 요청에 대한 답이 수렴하게 설계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즉 어떠...)
- 2023년 2월 11일 (토) 03:0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BA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데이터베이스 == 개요 == BASE란 Basix Availablity, Soft-state, Eventual consistency를 만족하는 관계를 말한다.ACID는 데이터에 대해서 일관성을 보장하지만 너무 pessmistic(빡빡하게) 제약조건을 거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좀더 느슨한 데이터에 대한 consistency를 보장하는 관계를 BASE라고 한다. 생각해보면 TCP와 UDP의 관계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 BA, S, E =...)
- 2023년 2월 11일 (토) 03:0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CAP 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데이터베이스 == 개요 == ''CAP 정리''', 또는 '''브루어의 정리'''(Brewer -)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분산 컴퓨터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 정리이다. CAP 정리에 의하면 이 모든 것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한순간에 2개까지만을 최대한으로 제공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서). * 일관성('''C'''onsistency): 모...)
- 2023년 2월 11일 (토) 03:0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B-tre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자료 구조 == 개요 == 전산 과학에서 '''B-트리'''(B-tree)는 데이터베이스와 파일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트리 자료구조의 일종으로, 이진 트리를 확장해 하나의 노드가 가질 수 있는 자식 노드의 최대 숫자가 2보다 큰 트리 구조이다. 방대한 양의 저장된 자료를 검색해야 하는 경우 검색어와 자료를 일일이 비교하는 방식은 비효...)
- 2023년 2월 11일 (토) 03:05 Ahn9807 토론 기여님이 해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탐색 분류: 자료 구조 == 개요 == 해시란 키가 취할 수 있는 범위의 집합을 제한된 수치범위에 매핑시키는 방식이다. 이 매핑을 수행하는 변환함수를 해시 함수라 한다. 해시 함수는 보통 그리 복잡하지 않은 알고리즘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CPU, 메모리 같은 시스템 자원을 덜 소모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같은 입력값에 대해서는 같은 출력...)
- 2023년 2월 11일 (토) 03:04 Ahn9807 토론 기여님이 Interrupt vecto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제어흐름 == 개요 == 인터럽트 벡터(영어: interrupt vector)는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그 인터럽트를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루틴들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공간이다. 인텔 아키텍처에서는, 가상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았던 386이전에는 주로 Main Memory의 0번째에 위치하였으나, 이후부터는 IDT(Interrupt descriptor table)의 형태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