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 Style: Lessons in Clarity and Grace]] == 개요 == Correctness란 문장을 문법에 맞추어 정확히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Clarity]]와는 다르게 Corectness는 일련의 규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칙에 얶매여서 글을 천천히 작성하는 것은 글쓰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필수적인 것만 정확히 처리하고 나머지는 차차고쳐나가는 것이 효율적인 글쓰기에 도움된다. 그러나 영어문법에는 매우 많은 비통사적인 표현들이 존재한다 (예. am not I -> aren't I). 이러한 표현을 외우고 숙지해서 좋은 글을 써야 한다. 문법 규칙에는 3개가 존재한다. * Real Rules: 영어를 영어로 만드는 규칙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관사는 명사 앞에 존재한다"와 같은 것이 있다 (the book, book the). * Social Rules: 세부적인 문법 규칙을 말한다. 에를 들면 복수 단수 일치와 같은 것이 있다. * Invented Rules: 문법학자가 만들어낸 규칙을 말한다. 예를 들면 문장을 전치시로 끝내지 마시오와 같은 것이 있다. 이 중, Real Rules와 Social Rules는 반드시 지켜야 하나, Invented Rules와 같은 경우에는 어겨도 좋은 경우가 종종있다. 따라서 중요한 Invented Rules와 Corner case에 대해서 공부해야 한다. == Invented Rules == Invented Rules는 원어민도 자주 다르게 사용하며, Real, Social Rules와는 다르게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칙은 아니다. 그러나 종종 이러한 규칙을 지키는 것이 공적인 표현이며 틀리게 사용하면 이러한 사실을 필자의 지적인 한계로 연관시키는 사람들도 있어서 지키는 것이 좋은 규칙들이다. 또한 종종 이러한 규칙은 명확한 이유가 없이 지켜지는 경우가 많으며, Clarity에 도움이 되는 규칙들도 많기 때문에 알아두는 것이 좋다. === Folklore === 이 분류에 속하는 영어 표현은 대다수의 지적인 사람들도 자주 실수하는 표현들이다. ; 문장의 시작을 and나 but으로 시작하지 말라 ; Because로 문장을 시작하지 말라 : 이는 문장을 불필요하게 나누지 않도록 하며, 또한 새로운 사실이 나중에 나오는 것이 흐름상 좋은데, 이를 어기는 것을 예방하기도 한다. 만약 문장을 Because로 시작하고 싶으면, 독자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나타내는 since로 시작하는 것이 더 좋다. ; 관계대명사의 제한적용법(,가 없는 경우)에서 which보다는 that이 좋다. : That은 restrictive(제한적)인 의미를 가진다. 또한 ,는 non-restrictive (계속적용법)으로만 사용된다. 따라서 that은 ,와 함께 사용될 수 없다. which는 restrictive와 non-restrictive의 의미를 둘다 가지나 restrictive의 상황에서는 which를 쓰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 간략히 제한적용법에 대해서 요약하자면, 제한적용법은 앞의 나온 명사에 대한 서술이고 (마치 전치사처럼), 계속적용법은 앞에서 나온 내용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경우 접속사 + 대명사를 요약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that은 which보다 더 부드러운 억양을 가지고 있어서 공적인 문서에 어울린다. ; fewer와 같은 경우에는 화자가 셀수 있는 경우에 less와 같은경우에는 화자가 셀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라 : 불가산명사나 단수형의 경우에는 less 가산명사나 복수형의 경우에는 fewer을 쓰면 좋다. ; Since나 while과 같은 경우에는 Because나 Altough의 의미가 아닌 시간과 관련된 경우에만 사용하라 : Since와 같은 경우에는 독자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며, while과 같은 경우에는 시간적인 의미가 있는 경우에 사용해야 한다. === Elegant Options === 이 분류에 속하는 영어 표현은 공적인 느낌이 들기 위해서 사용해야 하는 영어 문법표현들이다. ; 부정사를 쪼개지 말라 (분할 부정사를 사용하지 말라) : <code>It's to do with living a simple life free from the need to constantly buy the latest products.</code>와 같이 to 부정사에서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구가 to와 동사사이에 삽입된 경우를 분할 부정사(split infinitive)라고 한다. 위의 문장을 문법적으로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code>It's to do with living a simple life free from the need constantly to buy the latest products.</code>이 된다. 구어체에서는 많이 사용하나, 공적인 논문표현에서는 지양해야 한다. ; 주격관계대명사절의 경우 who, 목적격관계대명사절의 경우 whom을 사용해라 : who와 whom의 주격, 목적격 구별은 쉬우나, 만약 관계대명사절로 사용될 경우 구분이 헷갈리는 면이 있다. 이때 만약 who와 whom을 사용하는 절에서 받는 대명사가 목적격으로 사용되면 whom아니면 who를 사용해야 한다. <code>Tom met the person who was saved from an accident yesterday.</code> 이 경우 who는 was의 주어로 사용됨. <code>Tom met the person whom tom saved from an accident yesterday.</code> 이 경우 whom은 saved의 목적어로 사용됨. ; 전치사로 문장을 끝내지 마라 : 전치사로 문장을 끝내도 문법적으로 통하는 경우가 있으나, 공적인 느낌이 들기 위해서는 피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서 <code>That is the chair which she sits on.</code>와 같은 경우도 문법적으로 틀리지는 않으나, <code>That is the chair on which she sits.</code>처럼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에 위치시켜서 전치사 + 명사의 형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 공적인 표현이다. ; None이나 Any와 같은 경우에는 단수형으로 사용해라 : 문법적으로 none이나 any는 단수형이나, 많은 경우 복수형과 함께 사용된다. 그러나 공적인 표현에서는 문법을 지켜서 표현하는 것이 좋다. <code>None of the reasons is(o) are(x) sufficient to end the project.</code> === Hobgoblins === 분명치 않은 이유로 선호되는 표현들이 있다. 확실한 것은 때론 이 표현들을 어기는 것이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필수적인 아니란 것이다. (그러나 원어민 화자가 아닌이상 판단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니깐, 피하는 것이 좋은 것 같다.) ; Like보다는 As나 As if를 사용하라 ; Hopefully보다는 I hope를 사용해라 ; Finalize를 finish나 complete의 의미로 사용하지 말라 (저자는 굳이? 라고 생각하는 듯) ; impact을 동사로 사용하지 말고 명사로 사용하라 (저자는 굳이? 라고 생각하는 듯) ; 독립어를 very, more, quite, so on과 같은 표현과 같이 사용하지 말라 : 독립어란 perfect, unique, final, complete처럼 문장의 다른 성분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을 의미한다. ; Irregradless를 사용하지 말라 == 혼동되는 의미가 있는 표현 == 비격식적인 표현이 있어서 많이 혼동하여 사용되는 표현으로서, 비격식적인 표현을 의도하고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aggravate: 약화시키다. <비격식> 남을 귀찮게 하다. * anticipate: (예측해서) 대비하다. <비격식> 예측하다. * anxious: 걱정하는. <비격식> 갈망하는 * cohort: (어딘가에 참석하기 위해서) 모인 무리 <비격식> 집단 * comprise: ~으로 이루어지다. <비격식> 구성하다. * continuouse: 끊김없이 이어진 <비격식> (continually와 같은 의미로) 지속적으로 * disinterested: 공평한, 무심한 <비격식> 냉담한, uninterested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 * enormity: 매우 나쁜, 심각한 <비격식> 거대한 * fortuitous: 우발성의 <비격식> 운좋게 * fulsome: (칭찬, 아첨이 과도해) 불쾌한, 역겨운 <비격식> 많이 * notorious: 악명 높은 <비격식> 유명한 * imply, infer, principal, principle, accept, except, capital, capitol, affect, effect, proceed, precede, discrete, discreet와 같이 비슷한 글자를 가진 표현을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라틴어의 복수형 (예. datum, data, medium, media, phenomenon, phenomena)와 같은 것을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복수 표현과 성별 문제 === 영어는 단수, 복수를 동사의 단복수와 일치시켜야 하며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해야 한다. * 대명사의 단수, 복수는 전에 나왔던 단어와 일치시킨다. <code>Early efforts to oppose the hydrogen bomb failed because they(o) it(x) ignored...</code> * 만약 문법적으로는 단수인데, 의미적으로는 복수인 단어가 나오면 의미적으로 단수와 복수를 구별한다. 전체가 하나로 쓰이면 단수로, 각각의 행위가 있으면 복수로 사용한다. 그러나 현대 영어에서는 복수로 그냥 퉁치는 사람들이 있더라. * someone, everyone, no one 그리고 teacher, student와 같은 성별이 없는 대명사를 받는 명사는 무었이 되어야 할까? 구어체적인 표현은 they이지만 공적인 표현에서는 단수형 (he, hi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단수형의 표현에서 성별 문제가 일어난다. 과연 he나 his를 인류를 대변하는 표현으로 사용하는 것이 옳은가의 문제이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 중립적인 표현을 쓰는 것이 선호되는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 he -> he and she: he나 she가 아닌 사람은? * 단수를 복수로: 의미가 바뀔 수도 있음 * 명사를 1인칭으로: 모호하며, 너무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음 * one으로 바꾸기: 때론 부자연스럽게 들림 * 명사를 반복하기: 때론 부자연스럽게 들림 * 의미를 바꾸지 않는 선에서, he나 his를 관사나 다른 한정어로 치환 * 의미를 바꾸지 않는 경우, 생략 * 다른 문장구조로 바꾸어서 he나 his를 생략 * relative caluse를 통해서 he나 his를 생략 * 동사의 명사형 혹은 진행형을 통해서 he나 his를 생략 * 수동형으로 수정 * 부정형으로 수정 * he나 she를 계속 반복해서 적기 == 참고 == # https://iupshift.tistory.com/entry/%EC%98%81%EC%96%B4-%EB%AC%B8%EB%B2%95-%EA%B4%80%EA%B3%84%EB%8C%80%EB%AA%85%EC%82%AC-%ED%95%9C%EC%A0%95%EC%A0%81-%EC%9A%A9%EB%B2%95-%EA%B3%84%EC%86%8D%EC%A0%81-%EC%9A%A9%EB%B2%95-%EA%B4%80%EA%B3%84%EB%B6%80%EC%82%AC-%EA%B3%84%EC%86%8D%EC%A0%81-%EC%9A%A9%EB%B2%95-%EA%B4%80%EB%8C%80-%EA%B4%80%EB%B6%80-comma-%EC%9E%88%EB%8A%94-%EA%B2%BD%EC%9A%B0-%ED%95%B4%EC%84%9D%ED%95%98%EB%8A%94-%EB%B2%95 # https://www.letmecompile.com/restrictive-clause-non-restrictive-clause-%EA%B5%AC%EB%B6%84%ED%95%98%EA%B8%B0/ # https://www.merriam-webster.com/words-at-play/fewer-vs-less # https://m.blog.naver.com/softca/222023682028 # https://m.blog.naver.com/nrj_redslipper/221289477094 Correctness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