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닫기
검색
메뉴 여닫기
543
253
4
2.1천
noriwiki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파일 올리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notifications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user-interface-preferences
한국어
개인 도구
로그인
회선 교환 방식 문서 원본 보기
noriwiki
문서 공유하기
다른 명령
←
회선 교환 방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네트워크 계층]] == 정의 == 가상의 종단간을 잊는 회선을 만들어서 말단간에 패킷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 개요 == 회선 교환 방식은 [[패킷교환]] 방식과 함께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중 하나이다. 시작 전에 자원을 예약하여 그 할당된 자원을 최선으로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스위치와 스위치간의 연결을 회선 (circuit) 이라고 한다. 네트워크가 회선을 설정하면 네트워크링크에 일정한 전송률이 예약된다. 즉 보장된 일정 전송률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 종단간 연결 == 두 호스트가 통신하고 싶을 때 네트워크는 두 호스트 사이에 지정된 '''[[종단간 연결]](end-to-end connection)'''을 설정한다. 그러므로 호스트 ㄱ이 호스트 ㄴ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먼저 2개의 링크 각각에 한 회선을 예약해야 한다. == 공식 == 종단간 연결의 속도 = ( 사용하는 회선 개수 / 전체 회선 개수 ) * 링크 전체 전송 용량 == 다중화 == <[[다중 접속 프로토콜]] 참고> === FDM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 주파수 스펙트럼을 다르게 하여서 할당된 회선을 분할하는 방식이다. === TDM(time-division multiplexing) === 시간을 나누어서 주기적으로 전체 대역폭을 얻는 방식이다. == 왜 패킷 교환인가? == # 전송 용량의 공유에서 더 효율적이다.<br>패킷교환 방식의 다중화는 비는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역폭을 모두 사용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 더 간단하다. # 구현 비용이 적다. # 공평한 네트워크 구성에 일조한다.
회선 교환 방식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