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닫기
검색
메뉴 여닫기
515
223
4
2천
noriwiki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파일 올리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notifications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user-interface-preferences
한국어
개인 도구
로그인
시스톨릭 배열 문서 원본 보기
noriwiki
문서 공유하기
다른 명령
←
시스톨릭 배열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 컴퓨터 구조]] [[파일:Systolic arrays.png|400px|섬네일|가운데]] == Systolic arrays == [[Dataflow machine]]과 같은 병렬 처리에 특화된 구조는 특별한 시스템을 사용해서 명령을 처리하게 된다. 이중 하나의 방법이 시스톨릭 배열 (Systolic array)이다. [[TPU]]와 같은 아키텍쳐에서 사용되며, 크게 input date -> output data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HB (heart beat)신호가 들어오면 각각의 Processing element(PE)가 전단계에서 들어온 정보에 특정한 연산을 가하고 다음 PE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해서 신호를 각각의 PE연산자가 계산하면 최종 결과가 도출된다. 거의 그리고 어쩌면 오직 [[인공지능]]에서만 사용되는데, 이는 이 기법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행렬의 dot product계산에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Pipeline]]과 비슷하지만 이러한 경로가 linear하지 않고 nonlinear이며 그리고 multidirectional이라는 것이 차이점이다.
시스톨릭 배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