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닫기
검색
메뉴 여닫기
519
228
4
2천
noriwiki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파일 올리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notifications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user-interface-preferences
한국어
개인 도구
로그인
Parity bit 문서 원본 보기
noriwiki
문서 공유하기
다른 명령
←
Parity bit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 컴퓨터 네트워킹]] == 단일 패리티 비트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text-align: center; margin: 1em;" |- ! rowspan="2" | 7 비트 데이터 ! colspan="2" | 패리티 포함 8 비트 |- ! 짝수 ! 홀수 |- | 0000000 (0) | '''0'''0000000 | '''1'''0000000 |- | 1010001 (3) | '''1'''1010001 | '''0'''1010001 |- | 1101001 (4) | '''0'''1101001 | '''1'''1101001 |- | 1111111 (7) | '''1'''1111111 | '''0'''1111111 |} '''패리티 비트'''(Parity bit)는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추가된 [[비트]]이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각 문자에 1 비트를 더하여 전송하는 방법으로 2가지 종류의 패리티 비트(홀수, 짝수)가 있다. 패리티 비트는 [[오류 검출|오류 검출]]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로 쓰인다. * 짝수(even) 패리티는 전체 비트에서 1의 개수가 짝수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정하는 것인데, 이를테면 데이터 비트에서 1의 개수가 홀수이면 패리티 비트를 1로 정한다. * 홀수(odd) 패리티는 전체 비트에서 1의 개수가 홀수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정하는 방법이다. 7비트의 0010110라는 데이터에서 짝수 패리티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1의 패리티 비트를 붙여 10010110로 한다. 또 같은 데이터에 대해 홀수 패리티 비트가 되게 하려면 0의 패리티 비트를 붙인다. 이렇게 패리티 비트를 정하여 데이터를 보내면 받는 쪽에서는 수신된 데이터의 전체 비트를 계산하여 패리티 비트를 다시 계산함으로써 데이터 오류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패리티 비트는 오류 발생 여부만 알 수 있지 오류를 수정할 수는 없다. 단일 패리티 비트는 홀수개의 오류는 검출할 수 있지만 짝수개의 오류는 검출해 낼 수 없다. 또한 오류는 홀로 발생하기 보다는 버스트 형태로 한꺼번에 몰려서 발생한다. 즉 버스트 형태의 오류가 있을 경우 단일 패리티 비트 검사법은 단지 반의 확률만을 보장한다. == 2차원 패리티 검사 == [[파일:2차원패리티검사.png|300px|섬네일|왼쪽]] 반전된 비트를 포함하는 열과 행에 대한 패리티에 오류가 생긴다. 따라서 수신자는 단일 비트 오류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리티 오류가 있는 열과 행의 인덱스값을 사용해 잘못된 비트를 실제로 식별해서 오류를 정정할 수도 있다. 만약 짝수 개의 오류가 생기면 검출을 할 수는 있지만 정정은 할 수 없다.
Parity bit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