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이성과 감성
Publication Information
Author제인 오스틴
Translator김현숙
Publisher푸른미디어
Released1811
Pages393

배경

제인 오스틴의 이성과 감성은 연애 소설이다. 그러나 단순한 연애 소설을 넘어서 인간의 감성과 이성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우리의 삶을 이끄는지 탐구한 작품이다. 소설에는 대조적인 두 자매, 엘리너와 마리엔이 있다. 엘리너는 이성적이고 분별있는 사람으로(Sense), 마리엔은 감성적이고 낭만적인 인물로(Sensibility) 묘사된다. 하지만 오스틴은 이 대조를 단순히 흑백 논리로 그리지 않고, 이성과 감성의 균형과 조화를 통해 인간다운 삶의 중요성을 독자에게 설득력 있게 전달한다.

18세기 영국 사회는 여성을 감성적 존재로 간주하며, 남성과는 다른 존재로 바라보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계몽주의와 함께 여성의 이성을 강조하는 움직임도 나타났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는 여성을 이성적 존재로 바라보며, 남성과 동등한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연애와 결혼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오스틴은 이러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며, 여성을 단순히 감성적인 대상으로 보지 않고 그들의 이성과 감성을 조화롭게 표현했다. 작품 속 일라이자는 월러비에게 버림받고 방탕한 생활 끝에 결국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 이는 시대의 제한적 사회 구조와 여성에 대한 편견이 개인에게 얼마나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성의 엘리너

엘리너는 타인에 대한 사랑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성을 발휘하는 인물이다. 그녀의 분별은 단순히 상황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타인을 배려하고 스스로의 감정을 절제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소설에서 이성과 합리성이 항상 긍정적인 모습으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소설 속 존 대시우드 부부는 수전노적 계산과 자기합리화를 통해 엘리너와 마리엔에게 유산을 한 푼도 물려주지 않는다. 레이디 미들턴과 스틸 자매처럼 이성을 타인을 이용하고 판단하는 도구로 사용하는 인물들도 등장한다.

엘리너와 이들 사이의 대조는 이성이란 단순히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행동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어떤 가치와 태도로 뒷받침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보여준다. 오스틴은 이를 통해, 감정 없는 이성의 위험성을 독자들에게 경고한다.

감성의 마리엔

밤면, 마리엔은 감성적이고 낭만적인 인물로, 그녀는 문학과 예술에 대한 시적인 시선과 세상을 이상적으로 바라보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월러비라는 연인을 만났을때는 그만을 바라보고, 헤어지게 되자 절망 속에서 자신을 잃어버린다. 감성은 인간을 움직이고 예술과 낭만적인 삶을 가져오지만, 지나친 감성은 것은 이성적인 판단을 흐리게 하여 떄론 분별을 읽고 마는 결과를 가져온다. 감성은 자신의 우월성을 위하여 포장되기도 한다. 마리엔은 자신의 감성적인 기준을 정의로운 기준으로만 내세우며, 다른 사람의 기준은 무시한다. 이는 지나친 감성은 다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는 일방적인 이기주의로 갈 수 있다는 위험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작품 후반부에 이르러, 마리엔은 이성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감성을 성찰하며 진정한 성숙에 이르게 된다.

서평

결국 이성과 감성은 어느 한쪽이 우월하거나 불필요한 것이 아니다. 이성 없는 감성은 타인을 멋대로 재단하고 배려하지 않는 이기적 감정으로 이어지며, 결국 스스로의 행복조차 앗아간다. 반면 감성 없는 이성은 건조하고 냉담하며 세상을 차갑게 판단하고, 이기적일 뿐이다. 이성과 감성은 두 인물의 대조를 통해, 삶에서 이성과 감성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엘리너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이성의 인물로, 마리엔은 이성을 깨닫고 감성을 성찰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작가는 이를 통해 서로 사랑하되 현명하게 판단하며 살아가는 것이 인간다운 삶임을 독자에게 일깨운다.

소설은 작가의 섬세한 문체를 통해, 마리엔과 에드워드가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며 사랑을 완성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두 사람의 결합은 단순한 연애의 해피엔딩이 아니라, 이성과 감성의 조화가 인간 관계와 행복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반대로, 소설 속 다른 인물들은 이기심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사랑과 관계가 왜곡된다. 제닝스 부인이 말한 것처럼, “마리엔과 에드워드는 최고로 행복한 부부”로 남지만, 나머지 인물들은 결국 자신의 선택과 환경으로 인해 회한에 빠진다. 하지만 더욱 마음에 들었던 것은 나머지 인물들도 현실속에 사람들처럼 그럭저럭 행복하게는 살았다는 것이다[1].

이성과 감성은 단순히 두 가지 성향을 비교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오스틴은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행복, 그리고 사회적 관계의 본질을 탐구하며, 이 작품이 단순한 시대적 배경을 넘어 오늘날까지도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이유를 명확히 보여준다.

어록

p60. 낭만적인 고결함이 꺽여야만 할 때, 그 다음에는 상스럽고 위험하기만 할 뿐인 견해를 가지게 되는 법이 얼마나 많은지!

p118. 그녀가 보기에는 그가 모두를 경멸적으로 대하고 앞에 있는 것은 죄다 욕하는 것은 남보다 뛰어나고 싶기 때문이었다. 그것은 다른 사람보다 잘나 보이고 싶은 욕구였다. 그런 동기는 너무 흔한 것이여서 놀랄 것도 없었다. 그러나 그런 방법으로는, 본데없다는 점에서는 남보다 뛰어나다는 평판을 얻는 데 성공했다 하더라도, 자기 아내 이외의 사람에게서는 호감을 얻지 못했다.

p341. 그는 재능과 다정한 성격을 세상이 그를 낭비벽과 허영심에 물들게 하였다. 낭비벽과 허영심으로 인해 그는 내정하고 이기적인 마음에 빠져들게 되었다. 그는 다른 것을 희생하면서 잘못된 허영심을 채우던 와중에 진정한 사랑에 빠지게 되었는데, 낭비벽으로 인해, 아니면 적어도 그 산물인 곤궁함으로 인해 그 사랑을 희생하게끔 떠밀렸던 것이다.

p392. 그러나 그가 영원히 마음이 편치 못했다거나, 사교계를 피했다거나, 습관적인 우울증에 빠졌다거나, 아니면 마음이 아파 죽었다거나 하는 일은 기대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그는 전혀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1. p392. 그는 살면서 이런 저런 일을 하며 자주 즐겁게 지냈다. 그의 아내가 언제나 기분이 나쁜 채 있는 것은 아니었고, 그의 집이 언제나 불편한 것도 아니었다. 그는 말과 개를 키우면서, 각종 스포츠를 즐기면서, 못지 않은 가정적 행복을 누렸다.